Recommanded Free YOUTUBE Lecture: Launching Landing Page By Bootstrap and Node JS

무선 가치 실현
무선 가치 실현(Wireless Value Realization)은 Wi-Fi 및 모바일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기술을 사용하여 가치를 창출하고 전달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는데 사용하는 용어다. 여기에는 무선 연결을 사용하여 운영을 간소화하고 고객 경험을 개선하고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 무선가치의 목표는 무선 기술의 사용을 최적화 하여 전반적인 비즈니스 성과를 개선하는데 있다.

무선 가치 실현과 모바일 우선

무선 가치 실현과 모바일 우선(Mobile first)는 모두 "무선"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용어상에 혼란이 있을 수 있으니 두 개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정리하고 넘어가야 할 것 같다.

유사점

  1. 두 개념 모두 무선 기술을 사용하여 기업과 조직에 가치를 창출하는데 중점을 둔다.

  2. 두 개념 모두 의사 결정과 전략을 개발함에 있어서 무선 기술을 우선 사용하는 것을 강조한다.

차이점

  1. 무선 가치 실현은 무선 기술의 사용을 최적화하여 가치를 창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모바일 우선은 제품 및 서비스 설계 및 개발에서 모바일 경험을 우선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2. 무슨 가치 실현은 Wi-Fi 및 기타 형태의 무선 연결을 포함하여 더 넓은 범위의 무선 기술을 포괄하는 반면 모바일 우선은 모바일 장치 및 네트워크 사용등 모다 구체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춘다.

  3. 무선 가치 실현은 가치 창출에 중점을 두는 반면 모바일 우선은 모바일 고려사항을 설계및 개발 프로세스에 통합하는데 중점을 준다.

즉 무선 가치 실현이 큰 틀이고, 그 세부 구현 중 하나로 모바일 우선이 있다고 보면 된다.

무선 가치 실현 영역

Wireless Value Realization

무선 가치는 아래와 가치 무선을 기반으로 하는 광범위한 산업에서의 가치 창출을 목표로 한다.

  1. 위치정보, 에너지 생산, 배터리가 없는(혹은 제한적인 베터리) 영역에서의 작동 감지 및 모니터링

  2. 자동화된 인프라 운영을 위한 셀프 서비스 및 개발자 경험 향상

  3. 운영 기술, 정보 기술 및 LOB(Line of Business)운영을 위한 통합 네트워크 연결 및 보안

기존의 IoT 영역을 가지고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제 무선 가치 실현 영역에는 이미 연결된 수백억개의 엣지 / IoT 장치를 엔터프라이즈 인프라에 연결하여서 새로운 가치를 탐색하는 것이 포함된다. 즉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영역에 네트워크 기능을 포함하는 칩을 뿌리고 이들을 연결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비즈니스 모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위치추적 : 대부분의 무선 기술에는 연결된 지점의 위치를 감지하는 기능이 있다.

  • 레이더 감지

  • 부가 서비스

  • 개선된 유비쿼터스

  • 초저전력 무선 시스템

무선 가치 실현의 미래

무선 가치는 IoT와 관련이 많은 영역이다. 기존에 네트워크 환경과 기술적인 문제로 접근하지 못했던 영역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컨트롤 하겠다는 것이다. 그리고 2023년 부터는 시장이 열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물론 IoT를 중심으로 하는 무선 가치 실현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는 사람들이 많기는 하다. 나 같은 경우 2015년 LG 전자에서 가전을 중심으로 하는 IoT 솔류션 개발을 했었다. 당시만 해도 2~3년이면 IoT 시장이 열리지 않겠냐라고 생각했지만 8년이 지난 2023년에도 IoT 하면 "매년 트랜드이긴 한 것 같은데 글쎄 ??" 이런 느낌이다.

하지만 이제는 시장의 성장을 기대해도 될 것 같다. 스마트 홈, 스마트 시티, 자율 주행, 의료, 산업자동화, 에너지 분야에서 IoT 장치들이 사용되면서 점점 더 촘촘하게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있다.

예를들어 IoT 장치는 산업 자동화 영역에서 장비를 모니터링하고 제조 프로세스를 최적화 하는데 사용하고 있으며, 이들 데이터는 가동 중지 시간을 줄이고 효율성을 높이고 품질을 개선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들은 소프트웨어 영역에서는 CICD 파이프라인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던 건데, 물리적 영역들이 소프트웨어화 되고 네트워크가 이를 지원하면서 산업전반에 대한 정보 파이프라인이 구축되고 있는 것이다.

런드리고
국내의 경우를 살펴보자. 런드리고는 세탁 O2O 배달 서비스다. 런드리고는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을 통해서 세탁을 자동화하고 있다. 이 스마트 펙토리에는 1000대 이상의 라즈베리파이가 있으며 IoT를 통해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하고 있다. 이들 데이터를 기반으로 각 지역, 시간, 사용자 별 의류 데이터를 분석 할 수 있을 것이고 지속적으로 자동화, 효율화하고 있다.

무선가치 실현을 위한 클라우드와 DevOps의 역할

이제 클라우드는 IT 산업의 기간 산업이 되었기 때문에 클라우드와 DevOps는 무선가치 실현을 실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맡을 수 있다. 그들이 기여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은 아래와 같다.

  • 확장성: 클라우드 기반 솔류션은 주문형으로 리소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쉽게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수요가 크게 변동할 수 있는 무선 환경에서 특히 중요하다. DevOps 관행은 소프트웨어와 인프라가 원할하게 확장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민첩성: DevOps의 CICD 파이프라인은 무선가치 설현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것은 새로운 기술과 비즈니스가 이제 막 만들어지는 무선산업에 매우 중요하다. 클라우드 기반 솔류션과 DevOps의 CICD는 새로운 인프라와 애플리케이션을 프로비저닝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여줄 것이다.

  • 비용 효율성: 클라우드 기반 솔류션은 온-프레미스 하드웨어의 필요성을 제거하여 인프라비용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것은 민첩성과 확장성과 통합했을 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DevOps는 확장성, 민첩성, 비용효율성을 통합하는 관행을 제공한다.

정리

이 글은 가트너 선정 2023년 10대 전략 기술 트랜드 분석 중 AI Trust, Risk and Security Managent를 분석한 글입니다. 이 글과 관련된 또다른 정보가 궁금하다면 가트너 선정 2023년 10대 전략 기술 트랜드 분석 문서를 읽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