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에 대한 개략적인 내용은 DMZ문서를 참고하기 바란다. 나는 GNS3를 이용 DMZ를 구성하려고 한다. 구성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L2 switch를 포함하는 하나의 lack이 있다.
이 lack에 WEB, WAS, DB 서버가 모두 구성돼 있다.
이 lack에서 DMZ zone을 구성하려고 한다.
DMZ는 L3 상에서 구현하는게 일반적이겠는데, 굳이 L2 상에서 구현하려는 이유는 lack이 독립적인 하나의 솔류션으로 들어간다고 가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어차피 L2 상에서 구현/테스트 할 수 있다면, L3 상에서의 구현/테스트도 문제될게 없을 것이다. 오히려 L2 에서의 테스트가 더 복잡할 수 있다.
DMZ의 논리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이 구성을 네트워크 환경을 달리하면서 테스트 하려하다.
Lack이 하나의 L2 switch 만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 보자.
DMZ의 논리적인 구성을 보면, 최소 두개의 스위치가 필요하다. 그런데 이 경우 물리적인 스위치가 하나이므로 VLAN을 이용해서 논리적으로 나눠야 한다. 해서 Untagged VLAN으로 3개의 VLAN을 만들었다. 구성은 다음과 같다.
스위치의 MAC 주소 테이블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맵핑해서 정리했다. VLAN 까지 적용했다.
MAC Address
Port
Type
NIC
IP
용도
VLAN
0800.2781.c050
1
Web
eth1
192.168.10.2
Public network
1
0800.2700.8c02
2
web
eth2
192.168.100.2
5
0800.2719.8adf
3
F/W
eth1
192.168.100.3
5
0800.275a.aafc
4
F/W
eth2
192.168.200.2
10
0800.276f.72f5
5
WAS
eth1
192.168.200.3
10
스위치는 아래와 같이 설정했다.
https://lh5.googleusercontent.com/-XpKn2CVrp6k/UJ0VvZ8WCpI/AAAAAAAACj4/rGFQOPLkYp8/s640/gns04.png
이제 같은 VLAN에서만 브로드캐스팅 패킷이 전달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테스트를 끝냈다. L3 switch를 이용해서 DMZ를 구성하는 것도 테스트해 봄직한데, 어차피 그게 그거라서 (사실은 귀찮아서)패스한다.
Contents
1. DMZ 구성
2. 하나의 L2 switch 로 구성
3. GNS3로 구성
3.1. VLAN으로 나누지 않았을 경우
3.2. VLAN으로 나눌 경우
4. 히스토리
1. DMZ 구성
2. 하나의 L2 switch 로 구성
3. GNS3로 구성
3.1. VLAN으로 나누지 않았을 경우
3.2. VLAN으로 나눌 경우
4. 히스토리
Recent Posts
Archive Posts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