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번 문제 문제 카테고리 문제 번호 문제 제목 Top Rank CPU Time Memory컴퓨터 과학에서는 어떤 입력에 대해서 가능한 모든 값을 출력하는 알고리즘의 작성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NP, Unsolvable, Recursive등의 기법을 사용한다. 주어진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은 프로시져 코드로 표현될 수 ...
TCP 자세히 보기 보강해야될 내용 1. http TCP/IP를 처음 공부하는 것이라면, 이 문서를 읽기전에 에서 TCP/IP 개요 문서들을 먼저 읽어보시기 바랍니다.우리는 에서 IP 프로토콜을 헤더차원에서 살펴보았다. 이번 문서에서는 TCP 프로토콜을 헤더차원에서 살펴볼 것이다.TCP 개념에 대해선 이미 몇개의 문서를 통해서 다루어지긴 했지만 확인차원...
OSI 7 Layer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은 국제표준화기구 - ISO -에서 개발한 모델로 컴퓨터 네트워크 소프트웨어의 개발을 돕기 위해서 7계층으로 나누어 정의한 명세서다. 보통 OSI 7 계층이라고 부른다. 컴퓨터 네트워크는 아래로는 물리/전자기 적인 알고리즘과 이들을 이용해서 통신을 하...
UDP 소개UDP는 User Datagram Protocol 의 약자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데이터를 데이터그램 단위로 처리하는 프로토콜로 전송계층에 위치한다. TCP(End Systems 서비스란 요청을 받은 쪽에서, 데이터를 처리해서 결과를 보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SNMP(이러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프로토콜 때문에, UD...
역시 몇장에 걸쳐서(몇장이 될지는 예측할수 없다.. 일단 작성하고 보는 거라서 -.-), 차세대 인터넷의 핵심이라고 할수 있는 IPv6(:12) 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글은 IPv6 의 탄생배경(IPv4 가 이미 있는데도)과 IPv4(:12)와의 비교를 통한 몇가지 기본적인 특징등에 대해서 알아볼것이다. - 이를테면 입문서이다 -...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 IPv6IPv6가 나온지 어언 7년? 이상의 시간이 흐른거 같다. 처음 만들어질 때 부터, 차세대 인터넷 환경을 위한 프로토콜이며, 조만간 IPv4를 대체할 것처럼 말했었다. 그러나 (2006년)지금도 곧 (언젠가는)IPv6시대가 올것이다라고만 하고 있다. 정말 IPv6의 시대가 오긴 오는 것일까 ? 준비할 필요가 있는 것일까 ? ...
IP 자세히 보기 미완성 IP를 헤더 차원에서 좀 더 깊이 정리해 보려한다.이 문서를 읽기전에 아래의 문서들을 먼저 읽어두면 도움이 될 것이다. IP 는 인터넷으로 연결된 호스트들간에 데이터 교환을 지원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프로토콜이다. IP는 인터넷 환경에서 host 간 데이타 그램의 교환을 목적으로 하므로 host-to-host 프로토콜이라...
IP Subnet인터넷 주소는 32bit 크기를 가진다.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A 클래스에서 D 클래스 까지 4개의 계층을 둬서 관리한다. 먼저 32bit 주소를 8bit씩 나누고 "."으로 각 필드를 구분한다. 그래서 xxx.xxx.xxx.xxx식의 인터넷 주소 표기 방식이 만들었다. 8bit이므로 0.0.0.0 에서 255.255.255.2...
871 POSTS HERE
100번 문제 : 3n+1
100번 문제 문제 카테고리 문제 번호 문제 제목 Top Rank CPU Time Memory컴퓨터 과학에서는 어떤 입력에 대해서 가능한 모든 값을 출력하는 알고리즘의 작성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NP, Unsolvable, Recursive등의 기법을 사용한다. 주어진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은 프로시져 코드로 표현될 수 ...
알고리즘/코드 테스트를 위한 페이지
알고리즘/코드 테스트를 위한 페이지 다양한 알고리즘/코드의 구현과 테스트를 위한 공간 입니다. Level은 난이도에 따라서 1-10이며, 난이도 결정은 문제 작성자의 판단에 맡깁니다....
TCP 자세히 보기
TCP 자세히 보기 보강해야될 내용 1. http TCP/IP를 처음 공부하는 것이라면, 이 문서를 읽기전에 에서 TCP/IP 개요 문서들을 먼저 읽어보시기 바랍니다.우리는 에서 IP 프로토콜을 헤더차원에서 살펴보았다. 이번 문서에서는 TCP 프로토콜을 헤더차원에서 살펴볼 것이다.TCP 개념에 대해선 이미 몇개의 문서를 통해서 다루어지긴 했지만 확인차원...
OSI 7 Layer
OSI 7 Layer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은 국제표준화기구 - ISO -에서 개발한 모델로 컴퓨터 네트워크 소프트웨어의 개발을 돕기 위해서 7계층으로 나누어 정의한 명세서다. 보통 OSI 7 계층이라고 부른다. 컴퓨터 네트워크는 아래로는 물리/전자기 적인 알고리즘과 이들을 이용해서 통신을 하...
UDP 소개
UDP 소개UDP는 User Datagram Protocol 의 약자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데이터를 데이터그램 단위로 처리하는 프로토콜로 전송계층에 위치한다. TCP(End Systems 서비스란 요청을 받은 쪽에서, 데이터를 처리해서 결과를 보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SNMP(이러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프로토콜 때문에, UD...
IPv6개요
역시 몇장에 걸쳐서(몇장이 될지는 예측할수 없다.. 일단 작성하고 보는 거라서 -.-), 차세대 인터넷의 핵심이라고 할수 있는 IPv6(:12) 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이글은 IPv6 의 탄생배경(IPv4 가 이미 있는데도)과 IPv4(:12)와의 비교를 통한 몇가지 기본적인 특징등에 대해서 알아볼것이다. - 이를테면 입문서이다 -...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 IPv6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 IPv6IPv6가 나온지 어언 7년? 이상의 시간이 흐른거 같다. 처음 만들어질 때 부터, 차세대 인터넷 환경을 위한 프로토콜이며, 조만간 IPv4를 대체할 것처럼 말했었다. 그러나 (2006년)지금도 곧 (언젠가는)IPv6시대가 올것이다라고만 하고 있다. 정말 IPv6의 시대가 오긴 오는 것일까 ? 준비할 필요가 있는 것일까 ? ...
IP 자세히 보기
IP 자세히 보기 미완성 IP를 헤더 차원에서 좀 더 깊이 정리해 보려한다.이 문서를 읽기전에 아래의 문서들을 먼저 읽어두면 도움이 될 것이다. IP 는 인터넷으로 연결된 호스트들간에 데이터 교환을 지원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프로토콜이다. IP는 인터넷 환경에서 host 간 데이타 그램의 교환을 목적으로 하므로 host-to-host 프로토콜이라...
TCP IP 네트워킹
TCP IP 네트워킹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인 IPv6에 대한 내용을 다룹니다.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IPv6에 대응되도록 환경설정하는 방법과 소켓프로그래밍 방법에 관한 내용까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IP Subnet
IP Subnet인터넷 주소는 32bit 크기를 가진다.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A 클래스에서 D 클래스 까지 4개의 계층을 둬서 관리한다. 먼저 32bit 주소를 8bit씩 나누고 "."으로 각 필드를 구분한다. 그래서 xxx.xxx.xxx.xxx식의 인터넷 주소 표기 방식이 만들었다. 8bit이므로 0.0.0.0 에서 255.255.2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