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줄임말로, 자동으로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는 네트워크 정보를 모르더라도 간단하게 네트워크 설정을 할 수 있다. LAN 영역에 있는 DHCP 서버에 요청을 해서 IP 주소, subnetmask, gateway, dns 등을 자동으로 설정해주는 방식이다.
나는 그 동안 단순히 DHCP 서버를 사용하기만 했다. 소프트웨어 개발자이다 보니, 굳이 DHCP 서버를 구축해야할 필요가 없었던 거다. 그러다가 kickstart 환경을 구축 하면서 자연 스럽게 dhcp서버를 구성해야 하는 필요가 생겼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dhcp 서버를 직접 구성해보기로 했다.
dhcp server 설치 환경
내 리눅스 박스에 dhcp server를 설치하기로 했습니다. 사용하고 있는 배포판은 우분투 리눅스 11.10이다.
dhcp 서버를 설치한 다음, Virtualbox로 centos vm을 만들어서 dhcp 작동여부를 테스트 하기로 했다. centos vm이 dhcp 클라이언트로 작동하는 그림이다.. centos vm의 eth0를 dhcp로 설정하고, ubuntu dhcp server로 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잘 가져와서 네트워크를 설정하고, 통신이 되는지 확인하면 된다.
내 집에서 테스트를 진행했다. 무선 공유기를 통해서 인터넷에 접속하고 있다. 굳이 무선 공유기를 그림에 넣은 이유는 공유기의 DHCP 서버가 테스트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DHCP는 브로드 캐스팅이 되는데, 두 개의 DHCP 서버가 있을 경우 두 서버 모두 DHCP 응답을 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설정이 꼬일 수 있다. 그래서 무선 공유기의 DHCP 설정을 비활성화 했다.
dhcp server 설치와 설정
아래와 같이 테스트 환경을 만들었다.
dhcp server : 제 리눅스 박스 입니다.
guest vm : virtualbox로 guest vm을 만들었습니다. guest vm 운영체제는 CentOS 6.2 입니다.
동적으로 임의의 IP 주소 할당하기
네트워크 주소를 요청하는 호스트에 할당된 네트워크 범위내에서 임의의 IP 주소를 할당하는 설정이다. dhcp server 설치. isc-dhcp-server를 설치하기로 했다.
# sudo apt-get install isc-dhcp-server
이제 dhcp 설정파일을 만들어야 겠다. 설정 파일을 만들기 전에 dhcp로 서비스할 네트워크 환경을 계획하기로 했다.
IP 주소 대역 : dhcp 클라이언트에 할당할 IP 대역으로 192.168.56.2 ~ 192.168.56.254을 할당한다.
subnet mask : 255.255.255.0
dns server : google dns 서버를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8.8.8.8 과 8.8.6.6 이다.
이 정보를 dhcp 설정파일에 쓰면된다. dhcp 설정파일의 위치는 /etc/dhcp/dhcpd.conf 다.
ddns-update-style none;
# option definitions common to all supported networks...
option domain-name "example.org";
# google dns 서버를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option domain-name-servers 8.8.8.8, 8.8.6.6;
# gateway 입니다. 제 리눅스 박스입니다.
option routers 192.168.56.1;
# subnet mask
option subnet-mask 255.255.255.0;
default-lease-time 60;
max-lease-time 72;
# 서브 네트워크별 dhcp client에 할당할 네트워크 정보입니다.
# 2~ 254을 할당하기로 했습니다.
subnet 192.168.56.0 netmask 255.255.255.0 {
range 192.168.56.2 192.168.56.254;
}
이제 dhcp 서버를 작동합니다.
# sudo /etc/init.d/isc-dhcp-server restart
[sudo] password for yundream:
* Stopping ISC DHCP server dhcpd [ OK ]
* Starting ISC DHCP server dhcpd [ OK ]
이 걸로 설치 완료 입니다.
MAC에 고정 IP주소 할당하기
회사라면 보안상의 이유로 허가한 노드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제한하고 싶을 때가 있을 겁니다. 특정 MAC주소에 대해서 고정된 IP를 할당하는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joinc 회사의 네트워크 관리자인 저는 아래와 같이 접속을 제어하기로 계획을 세웠습니다.
guest vm 01은 192.168.56.50 으로 고정 IP를 할당.
guest vm 02는 192.168.56.60 으로 고정 IP를 할당.
guest vm의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해서 MAC을 조사한 다음 아래와 같은 표를 만들었습니다.
Contents
DHCP 설치
DHCP 란
dhcp server 설치 환경
dhcp server 설치와 설정
동적으로 임의의 IP 주소 할당하기
MAC에 고정 IP주소 할당하기
shared network 설정
group 설정
dhcp client 테스트
마치며
참고
Recent Posts
Archive Posts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