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CBDC

CBDC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은 문서를 참고하자.한국은행은 2019년까지만 해도 CBDC는 시기상조로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했다. 하지만 2020년에 들어서면서 CBDC에 대한 입장이 바뀌었다. 한국은행은 2021년 상반기에 CBDC 파일럿 시스템의 개발에 착수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2020년 8월 31일 를 배포했다.올해부터 CBDC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었는데, 이 문서를 분석하면서 그동안 연구했던 내용들을 내제화 할 생각이다.

Hyperledger cactus

블록체인 기술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지만 블록체인 솔류션, 기술, 서비스의 파편화는 향후 블록체인의 도입과 성장을 방해하는 큰 문제가 될 것이다.Hyperledger Cactus는 파편화된 이기종의 블록체인 시스템을 연결하는 프로토콜을 제안하기 위해서 만들고 있는 프로토콜이다. (2020년 10월 25일)현재 버전 0.1(Early Draft) 상태로 공개되기 까지 시간이 꽤 시간이 걸릴 것 같지만 개념이 좋은 것 같아서 분석해보기로 했다.

ERC-20

Ethereum Request for Comment 20의 약자다. 이더리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정한 표준 토큰 인터페이스다. 이 표준은 스마트컨트랙트내에서 토큰에 대한 표준 API의 구현을 허용한다. 토큰을 전송하는 기본기능을 제공하며, 제 3자가 토큰을 사용 할 수 있도록 토큰을 승인한다.표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지갑에서 탈중앙화 거래소에 이르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토큰을 재사용 할 수 있게 된다.

Central bank digital currencies: foundational priciples and core features

원문 중앙은행은 수백년동안 그들의 공공정책을 달성하기 위한 목표중 하나로 대중에게 신뢰성있는 돈을 제공해 왔다. 신뢰 할수 있는 돈은 공공에 이익(공익)을 준다. 이들 돈은 가치저장, 교환매체, 가치의 척도의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의 경우 상품과 서비스를 판매/구매하며 금융 거래를 위한 교환 매체로 사용 할 수 있기 때문에 일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며, 중앙은행은 이들 사용자에게 화폐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 임무 중 하나다.

Central Bank Digital Currencies And StableCoins

지불 환경은 빠르게 변하고 있다. CBDC(중앙 은행 디지털 화폐)와 스테이블코인(Stablecoins)이 주목 받고 있다. 특히 2019년 페이스북이 리브라(Libra) 백서 1.0을 발표하고 2020년 (규제 관련 우려사항을 반영한)2.0을 발표하면서 더욱 주목받게 되었다. 리브라의 옹호자들은 지불을 신원 시스템에 연결함으로써 금융 포용 및 금융 범죄를 막을 수 있는 탁월한 도구로써 지불의 미래라고 하는 반면, 비평가들은 규제와 금융 안전성에 대해서 우려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스테이블코인과 CBDC에 대한 이해와 이를 사용 할 수 있는 법적 구조를 탐구한다.

Enterprise - Scaled Agile Framework

기업에서의 애자일 적용을 위한 스터디를 진행한다. 다양한 애자일 프레임워크가 있는데, 그 중 SAFe를 선택했다. 학습의 결과물로 자격증을 생각하고 있다.2020.11.26일 SAFe 5 Agile Software Engineer 인증서를 획득했다.완전히 내재화하는 것을 목표로 Agile Software Engineer에 대한 복습겸 학습을 시작한다.SAFe(Scaled Agile Framework)는 기업의 조직구조와 업무 흐름을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scaling lean과 agile 관행의 모음이다. SAFe는 하나의 팀 이상으로 조직이 확장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중의 하나로 Large-scale Scrum(Less), disiplined agile delivery(DAD), Nexus등의 여러 방법론들을 포함하고 있다. SAFe는 Scaled Agile, Inc. 에서 제공하고있다.

System Thinking

System thinking은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의 상호연동하는 방식과 시간이 지남에 따른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등 단위 구성요소가 아닌 시스템의 맥락에서 작동하는 방식에 촛점을 맞춘 전체론적 분석방법이다. System thinking에서의 접근 방식은 시스템을 구성요소별로 분류하여서 연구하는 기존 분석 방법과 다른 입장을 취한다. System thinking는 의료, 환경, 정치, 경제, 인적자원 교육, 조직 구성, 소프트웨어 개발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 할 수 있다. System thinking에 따르면 시스템의 동작은 올바른 프로세스와 균형, 이들 사이의 조정의 결과물이다.

프로그래밍 가능한 화폐와 프로그래밍 가능한 지불

생소할 수 있겠으나 "Programmable Money"은 2020년 블록체인 분야의 주요 키워드들 중 하나였다. 여기에서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돈과 프로그래밍 가능한 지불에 대해서 살펴보려 한다. Programmable Money에 대해서 기술하기 전에 스테이블코인과 암호화폐에 대해서 정리를 해야 겠다. 스테이블코인 암호화폐 스테이블코인과 암호화폐는 모두 디지털화된 자산이기 때문에 "Programmable Money" 범주에 들어가지만 이 문서는 스테이블코인을 기준으로 할 것이다.

Golang - future

컴퓨터 공학에서 future, promise, delay, deferred는 동시성 프로그램에서 계산이 완료되지 않은 결과에 대한 프록시 역할을 하는 객체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알 수 없는 미래에 완료될 계산을 기다리고 처리하기 위한 객체다.Futures 와 promises는 함수형 프로그래밍과 그 관련 패러다임에서(logic programming)에서 사용하며, "값(미래)"과 "계산 방법(약속)"을 분리하여 병렬화된 계산을 유연하게 수행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는 분산 컴퓨팅에서 통신 지연 시간을 줄이는데 사용되었다. 요즘에는 continuation-passing style이 아닌 direct style로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다.

SAFE Principle 1 - Take an economic view

원문 "최고의 품질을 짧은 시간에 지속 적으로 달성하는" Lean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의 경제성(economic)를 이해해야 한다. 그것 없이는 기술적으로 괜찮은 시스템이라 하더라도 개발에 너무 많은 비용이 들거나 제공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리거나 엄청난 운영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이 리더십, 관리 및 지식 근로자의 전체 체인 관점에서 자신이 내리는 선택의 경제적 영향을 이해해야 하는 이유다. 전통적으로 활동에 필요한 예산(리소스)는 비즈니스, 시장, 고객, 재정을 이해하는 의사 결정자의 책임이었다. 이는 노동자들의 활동이 정보 없이 이루어지거나 전체적인 관점이 생략된체 리더십에 전달되었음을 의미한다. 이 결과 직접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는 자들의 비효율성, 역할과 권한의 불분명함이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