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NS3 Graphical Network Simulator로 CCNA 자격증을 공부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전 CCNA와는 상관없이 네트워크 공부를 해볼까 하고 살펴보는 중입니다. 클라우드 관련일을 하다 보면 L2 낮은 수준부터 규모가 큰 센타 네트워크 구성까지 살펴봐야 하는데, 이런 환경을 구축하고 테스트하는게 문제입니다. 가장 좋은 방법...
GNS3 Layer 2 - VLANVLAN은 Virtual Local Area Network의 줄임말이다. 그러니 VLNA을 명확히 이해할려면 LAN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LAN은 L2 레벨에서 물리적으로 직접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를 일컫는다. 여기에 관여하는 네트워크 장비가 L2 switch로, 모든 컴퓨터는 switch를 매개로 해서 서로 (lin...
OpvenVPN으로 구축하는 Site-to-Site VPN예전에 uCloud 환경에서 VPN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서 OpenVPN으로 site-to-site VPN를 구축한적이 있었다. IPSec과 SSL VPN중 어느게 더 성능이 뛰어난지, 더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정보를 얻는게 목적이었다. SSL VPN 솔류션으로는 OpenVPN을 I...
VPN - Virtual Private Network Virtual Private Network로 흔히 가상 사설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내부 네트워크 통신환경을 구축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해당 내부 네트워크의 정보를 바깥에 드러내지 않고자 하는데 있다. 이런 내부 네트워크 망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단순하다. 인터넷과 연결된 게이트 웨이를 두고, 외...
Amazon web service 분석Amazon Web Services(이하 AWS)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원격 컴퓨팅 서비스의 모음으로 Amazone.com이 제공한다. AWS의 핵심은 잘알려진 EC2와 S3이다. AWS는 물리적인 컴퓨터시스템과 네트워크 시스템과 같인 인프라를 "가상화"해서 제공한다. 즉 유저는 이들 인프라를 마치 원격에 있는 소...
Auto Scaling아마존 Auto scaling 가이드가 아니다. 아마존 Auto scaling을 분석을 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구성방안을 세우는게 목적이다.Auto scaling는 사용자가 정의하는 조건에 따라서 컴퓨팅자원과 네트워크 자원을 자동으로 늘이거나 줄이는 기능이다. 퍼블릭 클라우드에 Auto scaling를 적용할 경우 얻을 수 있는 잇...
AWS CloudWatchAWS Cloudwatch를 살펴보려고 한다. 이 문서는 레퍼런스가 아니다. 레퍼런스 문서는 그냥 AWS 사이트에서 읽으면 된다. 워낙 잘 돼 있기도 해서 굳이 정리 할 필요가 없다. 나는 클라우드와치의 활용 측면에서 장점과 단점, 한계 그리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들 위주로 살펴보려 한다. CloudWatch의 장점은 다른 모...
ECS - EC2 Container Service AWS에서 제공하는 컨테이너 서비스다. 2015년 8월(대충 이쯤이다.) 부터 도쿄 리젼에서도 사용 할 수 있다EC2 인스턴스 위에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구조다. VM에 사용한 네트워크, 시스템 기술들을 컨테이너에 그대로 사용 할 수 있으니, 인스턴스 위에 컨테이너를 올리는 것은 비효율적인 구성인 것 같다....
EIP - Elastic IPEC2의 EIP를 분석한다. EIP의 소개를 위한 페이지가 아니다. EIP와 같은 서비스를 하려면 어떠한 구조를 가져야 하는지를 분석한다.Amazon 서비스는 모든 자원을 대여하는 개념이다. IP 역시 마찬가지로 소유의 개념가 아닌 대여의 개념이다. 유저가 처음 VM을 생성하면, private ip와 public ip가 생긴다...
Amazon ELB 서비스 분석ELB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LB와의 차이 점 이기도 하다. 유저가 원할 때, 즉시 LB 서비스를 전개할 수 있다. 서로 다른 zone의 VM을 LB 그룹에 포함할 수도 있다. 자유로운 scaling 쓴만큼 비용을 지불 할 수 있다. ssl offload를 지원한다. ssl certificate를 중앙에서 관리한다. ...
213 POSTS HERE
GNS3 : Graphical Network Simulator With VirtualBox
GNS3 Graphical Network Simulator로 CCNA 자격증을 공부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전 CCNA와는 상관없이 네트워크 공부를 해볼까 하고 살펴보는 중입니다. 클라우드 관련일을 하다 보면 L2 낮은 수준부터 규모가 큰 센타 네트워크 구성까지 살펴봐야 하는데, 이런 환경을 구축하고 테스트하는게 문제입니다. 가장 좋은 방법...
GNS3 Layer 2 - VLAN
GNS3 Layer 2 - VLANVLAN은 Virtual Local Area Network의 줄임말이다. 그러니 VLNA을 명확히 이해할려면 LAN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LAN은 L2 레벨에서 물리적으로 직접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를 일컫는다. 여기에 관여하는 네트워크 장비가 L2 switch로, 모든 컴퓨터는 switch를 매개로 해서 서로 (lin...
OpvenVPN으로 구축하는 Site-to-Site VPN
OpvenVPN으로 구축하는 Site-to-Site VPN예전에 uCloud 환경에서 VPN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서 OpenVPN으로 site-to-site VPN를 구축한적이 있었다. IPSec과 SSL VPN중 어느게 더 성능이 뛰어난지, 더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정보를 얻는게 목적이었다. SSL VPN 솔류션으로는 OpenVPN을 I...
VPN - Virtual Private Network
VPN - Virtual Private Network Virtual Private Network로 흔히 가상 사설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내부 네트워크 통신환경을 구축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해당 내부 네트워크의 정보를 바깥에 드러내지 않고자 하는데 있다. 이런 내부 네트워크 망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단순하다. 인터넷과 연결된 게이트 웨이를 두고, 외...
Amazon web service 분석
Amazon web service 분석Amazon Web Services(이하 AWS)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원격 컴퓨팅 서비스의 모음으로 Amazone.com이 제공한다. AWS의 핵심은 잘알려진 EC2와 S3이다. AWS는 물리적인 컴퓨터시스템과 네트워크 시스템과 같인 인프라를 "가상화"해서 제공한다. 즉 유저는 이들 인프라를 마치 원격에 있는 소...
Auto Scaling
Auto Scaling아마존 Auto scaling 가이드가 아니다. 아마존 Auto scaling을 분석을 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구성방안을 세우는게 목적이다.Auto scaling는 사용자가 정의하는 조건에 따라서 컴퓨팅자원과 네트워크 자원을 자동으로 늘이거나 줄이는 기능이다. 퍼블릭 클라우드에 Auto scaling를 적용할 경우 얻을 수 있는 잇...
AWS CloudWatch
AWS CloudWatchAWS Cloudwatch를 살펴보려고 한다. 이 문서는 레퍼런스가 아니다. 레퍼런스 문서는 그냥 AWS 사이트에서 읽으면 된다. 워낙 잘 돼 있기도 해서 굳이 정리 할 필요가 없다. 나는 클라우드와치의 활용 측면에서 장점과 단점, 한계 그리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들 위주로 살펴보려 한다. CloudWatch의 장점은 다른 모...
ECS - EC2 Container Service
ECS - EC2 Container Service AWS에서 제공하는 컨테이너 서비스다. 2015년 8월(대충 이쯤이다.) 부터 도쿄 리젼에서도 사용 할 수 있다EC2 인스턴스 위에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구조다. VM에 사용한 네트워크, 시스템 기술들을 컨테이너에 그대로 사용 할 수 있으니, 인스턴스 위에 컨테이너를 올리는 것은 비효율적인 구성인 것 같다....
EIP - Elastic IP
EIP - Elastic IPEC2의 EIP를 분석한다. EIP의 소개를 위한 페이지가 아니다. EIP와 같은 서비스를 하려면 어떠한 구조를 가져야 하는지를 분석한다.Amazon 서비스는 모든 자원을 대여하는 개념이다. IP 역시 마찬가지로 소유의 개념가 아닌 대여의 개념이다. 유저가 처음 VM을 생성하면, private ip와 public ip가 생긴다...
Amazon ELB 서비스 분석
Amazon ELB 서비스 분석ELB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LB와의 차이 점 이기도 하다. 유저가 원할 때, 즉시 LB 서비스를 전개할 수 있다. 서로 다른 zone의 VM을 LB 그룹에 포함할 수도 있다. 자유로운 scaling 쓴만큼 비용을 지불 할 수 있다. ssl offload를 지원한다. ssl certificate를 중앙에서 관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