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디자인 가이드

지난 20년간 웹 애플리케이션은 엄청난 성장을 이루어냈다. 수십억면의 사용자들이 웹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으며, 산업 그리고 부의 판도도 뒤집어 버렸다. 우리는 거의 Kakao, Naver, Twitter, Facebook, Google, Instagram 등의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다. 이들 서비스는 동시에 수백만에서 수천만의 사용자가 사용하기 때문에 ...

가트너 선정 2023년 10대 전략 기술 트랜드 분석 - Digital immune system

디지털 면역 체계에서는 IT 시스템과 서비스를 생물학적 유기체계라고 본다. 생물학적 유기체계에서의 면역 시스템의 핵심은 생물체계가 자신을 위협하는 외부 요인들을 식별하고 제거하기 위해 자동적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Minikube 와 함께하는 Kubernetes Study 2 - deployments

아직 Kubenetes 환경을 구축하지 않았다면 문서를 참고해서 구축하자.쿠버네티스의 최소 배포단위는 POD이다. POD는 실질적인 프로세스이고, Service 형태로 외부에 노출된다. POD이 프로세스이므로 POD의 사양 즉 프로세스의 이름, 프로세스를 실행할 컨테이너 이미지이름, 사용할 포트등의 명세서가 필요하다. 또한 Pod의 복제본 수, 업데이트되는...

가트너 선정 2023년 10대 전략 기술 트랜드 분석 - 응용 관찰성

응용 관찰성(Applied Observability)는 제품 생산 시스템의 동작과 성능을 이해하기 위해서 다양한 도구와 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모니터링 메트릭의 수집, 로그의 저장과 분석, 추적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Minikube 와 함께하는 Kubernetes Study 1 - Minikube 설치

기술 저변을 확장하려면 개발자가 유입 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개발/테스트 환경이 잘 구성되어야 하는데, Kubenetes는 핫한 기술이기는 하지만 설치/운영이 쉽지 않다. K8s는 개념도 매우 복잡한데, 설치 하는 것 자체가 하나의 과업이다 보니 진입 문턱이 너무나 높다. 당장 클러스터를 구성해야 하는데, GCP나 AWS를 이용하려고 하면 비용이 문...

AWS Well-Architected Framework

AWS Well Architected Framework는 좋은 아키텍처를 만들기 위한 길잡이 역할을 한다. 방대한 내용을 담고 있지만 전체 문서를 가로지르는 핵심은 한 문장으로 정리 할 수 있다. 측정할 수 없다면 관리할 수 없고 관리할 수 없으면 개선할 수 없다. 이 문서는 Well Architected framework를 지탱하는 6개 Pillars(기...

Amazon Route 53 Cheat Sheets

Amazon Route 53은 고 가용성(High available), 확장성(Scalable)을 가진 DNS(Domain Name System) 서비스다. Amazon Route 53의 핵심 기능은 아래와 같다. Domain Name 등록 : 도메인 이름을 구매하고 관리 할 수 있다. DNS resolution, AWS 리소스에 대한 Health Chec...

VirtualBox PXE Boot

VirtualBox PXE BootPXEBoot를 위해서는 PXE 서버 설정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정보는 문서를 참고하기 바란다. PXE Bboot 환경 만들기 문서를 읽고 난 후, 아래 글을 읽기 바란다. 위 문서를 읽고 테스트를 하기 위한 dhcp 서버를 구축했을 것이다. 그런데 virtualbox도 자신의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해서 dhcp 서버를...

AWS Well-Architecture Framework

AWS는 100여개가 넘는 수많은 서비스들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이를 서비스를 자유롭게 엮어서 최적화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할 수 있다. 그 조합의 수는 무한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효과적인 조합은 있는 법이라서 AWS는 AWS Well-Architected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는 AWS에서 제한한 Well-Architected 정보를 이용해서...

NATS

NATS는 분산 시스템을 지원하는 연결기술(connective technology)로 메시지의 주소 설정, 검색, 통신을 담당한다. 마이크로서비스아키텍처(MSA)에서의 메시지 교환, 스트림 처리를 위해서 사용한다. 클라우드 메시징 서비스 (마이크로서비스, 서비스메시) 이벤트 / 데이터 스트림(데이터 모니터링, 분석, ML/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