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맵

메모리 맵...

메시지큐

메시지큐 ...

뮤텍스

뮤텍스뮤텍스는 concurrent programming에서 두개 이상의 쓰레드가 동시에 (전역 변수와 같은)공통자원에 접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알고리즘이다. 접근제어가 필요한 영역을 임계 영역 (critical section)이라고 한다. 임계 영역은 상호 배제 (mutual exclusion)알고리즘으로 자신 외에 다른 Thread(쓰레드)...

세마포어

세마포어컴퓨터 과학에서 세마포어란 병렬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공통 리소스에 여러개의 프로세스가 접근하고자 할때, 공통 리소스를 보호하고자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방법이다. 세마포어는 일반적으로 "True/False"의 상태를 가지는데, lock/unlock의 상태를 의미한다. 자원에 대한 접근을 "잠그거나 풀어주는" 방식으로 자원을 보호한다. 1....

시스템 프로그래밍

시스템 프로그래밍 1. 1. 1. 1. 1. 1. ...

시스템콜

시스템콜리눅스는 유저 모드와 커널 모드 두개의 실행영역을 가진다. 유저 모드는 일반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영역이고, 커널 모드는 커널(을 위함이다.응용 프로그램은 커널 모드에 진입을 할 수 없으므로 하드웨어에 대한 접근을 할 수 없다. 이는 메모리 할당, 파일 읽기/쓰기와 같은 주요한 작업을 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래서는 제대로 된 응용 프...

쓰레드

쓰레드 ...

어셈블러

어셈블러...

임베디드

임베디드(:12) 시스템은 매우 낮은 수준에서 장치를 다루고 프로세서(:12)를 직접 제어해야 한다. 또한 PC에 비해서 자원에 대한 제약이 심하기 때문에 프로그래밍을 위한 언어로 Assembly(:12)가 널리 사용되어져 왔다. 현재까지도 여전히 Assembly는 중요하게 사용되지만 하드웨어기술의 비약적인 발달로 인하여, 아예 Linux(:12) 커널(:...

잠금

잠금소프트웨어공학적으로 잠금이란 file( flock(3) fcntl(2) IP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