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RT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의 줄임말이다. UART는 직렬통신을 지원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컴퓨터의 서브시스템이다. 컴퓨터는 데이터를 바이트 단위로 다룬다. 그렇지만 외부로 보낼때는 이를 bit단위로 변환 시켜야할 필요가 있다. UART는 전송되는 바이트 데이터를 일련의 bit데이터로 변경시키며, ...

USB

USBUniversal Serial Bus 의 줄임말이다. 최대 12Mbps의 전송률을 보장하며, 하나의 USB포트를 통하여 최대 127개의 장치를 연결시킬 수 있다. USB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캠코더, 외장형 하드디스크/랜카드 등을 동시에 이용할 경우 각각의 장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존재했어야 했지만, 지금은 단일 ...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VDI(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는 원격 디스플레이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서 중앙의 블레이드 PC나 원격 서버에 접속해서 데스크탑 환경을 호스팅하는 "데스크탑 중심의 가상화" 서비스다. VDI 서비스 사용자들은 데스크탑을 이용하기 위해서 자신의 로컬 PC를 ...

W3C

W3CWorld Wide Web Consoritume 의 줄임말이다. 원래대로 하자면 WWWC정도가 되겠지만 약간의 기지를 발휘해서 W3C로 이름을 정했다. W3C는 웹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공용기술과 가이드라인, 소프트웨어 툴등을 개발하는 모임으로 웹을 이끄는 가장 영향력있는 모임이다. http...

객체

객체객체란 식별될 수 있는 모든 것을 의미하는 매우 포괄적이고 추상( 데이터 메서드 프로그래밍에서의 객체도 비슷한 개념을 가진다. 데이터와 메서드로 구분되며, 메서드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핸들한다.http객체와 혼동될 수 있는 것이 클래스인데, 클래스는 객체를 표현하기 위한 명세서이고, 이 명세서가 구체화 된게 객체이다. 자동차 설계도는 클래스, 구체화된...

게이트웨이

게이트웨이인터넷은 이미 존재하는 컴퓨터 네트워크들을 서로 이어주는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그러므로 컴퓨터 네트워크에 포함된 노드들이 인터넷과 연결하려면, 인터넷으로 향하는 입구역할을 하는 컴퓨터를 통해야 한다. 이를 게이트웨이 컴퓨터라고 한다....

롱테일 : long tail

롱테일 롱테일은 파레토(파레토 법칙은 상위 20%가 매출의 80%를 가져오므로 상위 20%에 집중을 한다. 파레토의 법칙을 설명하기 위해서 다음의 비지니스 격언을 인용하기도 한다. 1. 인구의 20%가 80%의 부를 가지고 있다. 1. 백화점 매출의 80%는 20%의 고객이 만들어 낸다. 1. 웹링크의 80%는 20%정도의 사이트로 향한다. 1. 2...

블로그

블로그blog는 website의 한 형태로 weblog의 줄임말이다. 일반적으로 블로그는 개인적인 생각이라든지 어떤 사안에 대한 짧은 비평, 주변에 일어난(관심있는)사건들에 대한 내용들로 구성이 된다. 일기처럼 시간순으로 구성이되며, text와 함께 이미지나 비디오등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일기와 꽤 비슷한 모습을 보여주기는 하지만, 전적으로 개인의 영역...

원자화

원자화signal(신호)의 도착에 의해 작업이 중단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어떤 자원 s가 있고, s를 변경할 수 있는 p와 v연산이 있을 때, 한 순간에 오직 하나의 프로세스만이 s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원자화된 연산. 한 순간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a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a = a + 1;원자화 되지 않은 연산. sleep(1)는 시그널의 ...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줄여서 WAS라고 한다.웹서버는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웹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데, 이미지와 HTML, CSS, Javascript 같은 정적(static) 자원을 서비스한다. 이 방식은 고정된 문서와 이미지를 처리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다. 그러나 인터넷이 비지니스 영역으로 확대되면서,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