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 User Guide

Docker User Guide 의 번역 문서다.도커 컨테이너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도커는 컨테이너 기반(container-based)의 가상화 플랫폼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개발/배포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도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을 살펴보자.컨테이너를 관리하는 방법을 살펴보자. 컨테이너의 실행, 중단, 삭제, 목록확인...

도커 애플리케이션 개발 - Hello World

도커 애플리케이션 개발 - Hello Worlddocker run으로 도커 컨테이너를 만들 때,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할 수 있다. # docker run ubuntu /bin/echo "hello World"hello World 1. docker가 실행 되면 run명령을 수행한다. docker run은 다음에 오는 도커이미지를 실행한다. 1. ubunt...

도커 컨테이너 작업

도커 컨테이너 작업컨테이너는 docker run 명령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두 종류의 컨테이너를 실행 할 수 있다. 포그라운드(forground)로 실행되며, 키보드와 모니터를 이용해서 유저와 상호작용 할 수 있다. 백그라운드로 실행 할 수 있다.그 밖에 아래와 같은 도커 명령들을 살펴볼 것이다. docker ps docker logs doc...

Docker 레퍼런스 네트워크

Docker 레퍼런스 네트워크 미완성.. 작업 중 도커를 이용한 데이터 센터 구축이 목표다. 아마도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가장 큰 어려움은 네트워크 구성일 것이다. 네트워크 구성을 집중적으로 살펴보려고 한다. 최종목표는 와 같은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하는 거다.을 기반으로 테스트 환경을 만들어 보기로 했다.제대로 테스트하려면 두 개 이상의...

Docke Remote API

Docke Remote API도커는 기본적으로 유닉스 도메인 소켓을 이용해서 통신을 한다. 소켓의 주소는 unix# ls -al /var/run/docker.sock srw-rw---- 1 root docker 0 Oct 10 10도커 API를 원격에서 사용하고 싶다면, 인터넷 주소에 바인드 하도록 설정을 변경하면 된다. CLI상에서는 -H tcp# ca...

AUFS와 Docker 파일 시스템

AUFS와 Docker 파일 시스템aufs(advanced multi layered unification filesystem)은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union mount를 구현하기 위해서 시작한 프로젝트다. 2006년 junjiro Okajima가 개발을 시작했으며, UnionFS를 완전히 새로 만들었다. 안정성과 성능을 향상시키는 이외에도 writab...

CoreOS

CoreOS CoreOS는 리눅스 컨테이너를 관리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테이너 전용 리눅스 배포판이다. 리눅스 컨테이너는 하이퍼바이저 기반의 가상머신과 비슷한 특징과 장점을 제공하지만, 가상 호스트를 제공하는게 아닌 격리된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제공하는데 촛점이 맞춰져 있다. Paas 혹은 Saas에 가까운 느낌이다. ...

개인 도커 이미지 저장소 만들기 및 개발 프로세스 만들기

개인 도커 이미지 저장소 만들기 및 개발 프로세스 만들기컨테이너 기반으로 서비스를 배포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공개해도 괜찮은 컨테이너들이 있지만, 서비스의 중요한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는 컨테이너들은 개인 저장소에서 저장해야 한다. 대략 Dockerfile은 git으로 관리하고, 이것을 빌드(build)해서 개인 저장소에 push한 다음 배포하는 방식...

컨테이너 기반 클라우드를 위한 도커 데이터 볼륨 관리

컨테이너 기반 클라우드를 위한 도커 데이터 볼륨 관리 도커는 데이터를 persistent 하게 저장하기 위해서 데이터 볼륨을 만든다. 실제 애플리케이션에서 만들어지는 데이터의 대부분은 데이터 볼륨에 저장이 된다. 애플리케이션이 만드는 로그나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파일, 유저가 업로드한 파일등등이 모두 여기에 해당한다.컨테이너 볼륨은 읽기 전용으로, 보통 ...

ECS - EC2 Container Service

ECS - EC2 Container Service AWS에서 제공하는 컨테이너 서비스다. 2015년 8월(대충 이쯤이다.) 부터 도쿄 리젼에서도 사용 할 수 있다EC2 인스턴스 위에 컨테이너를 실행하는 구조다. VM에 사용한 네트워크, 시스템 기술들을 컨테이너에 그대로 사용 할 수 있으니, 인스턴스 위에 컨테이너를 올리는 것은 비효율적인 구성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