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oAuth2 로그인

oAuth2는 외부 서비스에게 자신의 자원을 이용 할 수 있도록 인증과 권한을 관리해주는 시스템이다. 페이스북, 구글, 다음, 네이버등의 거대 인터넷회사들은 oAuth2를 이용해서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자원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허가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를 참고하자. 여기에서는 네이버의 oAuth2를 이용해서 네이버의 자원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oauth2

이름에서 예상할 수 있듯이 OAuth 2.0은 OAuth 1.0의 새로운 버전이다. 앞자리가 바뀌었으니 메이저 업그레이드 버전이라고 할 수 있겠다. OAuth 2.0이 비록 OAuth 1.0에서 유래하긴 했으나 목적과 이름만 같을 뿐, 이 둘은 전혀 호환되지 않는다. OAuth 1.0은 지금은 레거시 취급 받는 상황이라서, 굳이 OAuth 1.0은 살펴보지...

Let's Encrypt를 이용한 Free SSL 인증서 사용

2017년 1월 초, 그동안 문제 없이 돌던 사이트에 경고메시지가 뜨기 시작했다. 구글이 https를 적용하지 않은 사이트에 접속할 경우 "안전하지 않음(Not Secure)" 표시를 띄워서 사용자들에게 경고하기로 결정 했다. 서비스 사용에는 문제가 없으나 기분이 좋지는 않을 테다. 어차피 해야 할 것 SSL 인증서를 올리기로 했다.몇 개 공짜 SSL을 제...

GoLang을 이용한 http client 개발

http client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구조체와 함수들은 net/http에서 찾을 수 있다. http.NewRequest("METHOD", "URL", nil) 메서드를 이용해서 요청객체를 만들 수 있다. METHOD는 GET, POST, DELETE, PUT 등을 사용 할 수 있다.요청 객체는 "어느 URL에 대해서 어떤 요청을 하라라는 정보"만 담고 ...

oAuth2에 대하여

oAuth(이하 oAuth는 oAuth2를 의미한다.)는 외부 서비스(3rd party)로 하여금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원에 대한 사용을 허용하기 위한 범용인증 표준이다. 여기에서 자원이라 함은 서비스가 가지고 있는 모든 것이다. 예를 들어 네이버라면 유저정보, 네이버가 가지고 있는 이미지, 음악, 위치정보, 블로그, 메일, 인공지능 등 모든 것을 의미한다...

websocket

프로토콜의 가장 큰 장점중 하나는 "견고하면서도 간단하다"는 점이다. 프로토콜은 인간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영문 알파벳으로 이루어지며, 필수 헤더 10개 정도면 애플리케이션의 제작이 가능하다. 게다가 인터넷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프로토콜이기도 하다.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엄청난 수의 서버/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들과 역시 엄청난 수의 (게다가 품질도 뛰어...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s 의 줄임말이다. World Wide Web (WWW(12))상에서 접근하고자 하는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한다. 자원은 "문서", "이미지", "동영상", "프로그램", "이메일"등 모든 것이 될 수 있다. 메일을 받을 상대방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하는 emailURI는 URL과 URL으...

HTTP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다. WWW에서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W3C(12)에서 관리하고 있다. HTTP는 요청과 응답으로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는 전형적인 서버/클라이언트 프로토콜이다. HTTP 클라이언트는 웹브라우저이며, Apache(12)와 같은 프로그램이 서버 프로그램이 된다. HTTP는 ...

STOMP - Simple Text Oriented Messaging Protocol

STOMP - Simple Text Oriented Messaging Protocol STOMP는 스트리밍 텍스트 기반의 간단한 스트리밍 메시지 프로토콜이다. HTTP로 부터 영감을 받은 디자인 덕분에 읽고 쓰기가 매우 쉽다는 장점이 있다. 단순하며, 읽고 쓰기가 쉽다는 것은 클라이언트 측에서는 당연한 장점이긴 한데, 대신 서버측에서 구현해야 할게 많아진...

URL :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의 약어로 WWW(World Wide Web)상에서 문서와 다른 자원들(이미지, 동영상 등)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한다. URL은 사용하기 위해서 표준적인 규칙을 따라야 한다. 인증이 필요한 서비스와 그렇지 않은 서비스의 형식이 다르다.크게 3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첫번째 부분은 사용할 프로토콜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