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B

ERBERB는 루비의 내장 템플릿 엔진으로 텍스트의 종류에 상관없이, 루비 코드의 값을 포함하는 문서를 만들 수 있다. 템플릿은 문서내에 변수 뿐만 아니라 흐름제어를 위한 루비코드와 함께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문서 형식에 대응할 수 있다. ERB는 주로 웹문서를 만들기 위해서 사용한다. 이외에도 XML 문서, RSS 피드, 소스코드 기타 구조화된 텍스트파...

Ruby Eventmachine

Ruby EventmachineEventMachine는 Ruby, C++, Java에서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라이브러리다. 을 이용 이벤트 드리븐 방식의 I/O를 지원한다. Eventmachine의 핵심 키워드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높은 확장성과 성능 안정성을 가진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 멀티 스레드 방식의 네트워크 ...

루비 파일 입출력

루비 파일 입출력가장 중요한 건 역시 파일 다루기 이겠다. 여기에서 다룰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기본 파일 입출력 파일 삭제, 이름 변경, 권한 변경 파일 정보 가져오기 파일 위치 조작 고수준 입출력 장치들 디렉토리 표준출력은 puts와 print 메서드를, 표준입력은 gets를 이용한다.#!/usr/bin/rubyprint "Enter a value ...

서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ruby Gserver

서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ruby Gserver여자처자 해서 간만에 서버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했다. 예전 같으면 를 쓸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Persistant한 통신채널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최근 ruby 언어를 사용하고 있으니, ruby기반으로 서버 프로그램을 간단히 만들 수 있는 무언가 있을 거라고생각해서 찾은게 "GServer"이다. G...

Ruby JSON 활용

Ruby JSON 활용1.9.2에는 bundle 형태로 루비와 함께 제공된다. 1.8.7 버전의 경우 gem으로 설치해야 한다.# gem install jsonhash 자료구조를 그대로 json 포맷으로 만들 수 있다.#!/usr/bin/rubyrequire rubygemsrequire jsonmyinfos = { "name"=>"yundream", "a...

Ruby Method chain

Ruby Method chain메서드 체인은 여러 개의 메서드를 연결해서 호출하는 기술로, 코드의 관리와 가독성을 높여주는 편리한 기술이다. A, B, C 3개의 메서드를 따로 호출하는 대신 A().B().C()와 같은 호출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최신언어들 대부분이 지원한다. 어떤 작업을 끝내기 위해서 A, B, C 3개의 메서드를 호출해야 한다고 ...

NET::HTTP를 이용한 웹 클라이언트 개발

NET header까지 제어해야 했다. 해서 꽤 많은 일을 할 수 있는 HTTP client api를 찾아야 했다. 그렇게 찾은게 NETHTTP 요청은 꽤 많은 구성요소를 가진다. "프로토콜require uriuri = URI("httpputs uri.scheme # http puts uri.host # www.joinc.co.krputs uri.port...

루비 블럭, Procs, Lambdas 이해하기

루비 블럭, Procs, Lambdas 이해하기루비의 블럭, Procs, 람다(Lambdas)는 강력한, 때로는 마법처럼 보이기도 하는 기능이지만 이해하기 어려운 기능이기도 하다. 다른 언어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기능이 아니기 때문이다. 특히 C, C++, Java, PHP등의 언어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면 더욱 그렇다. 이들 언어는 클로저(Closur...

Rack

Rack Rack은 Ruby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다. Rack의 가장 간단한 응용은 웹서버의 요청을 받아서 웹 프레임워크로 전달하고 응답을 웹서버로 전달하는 미들웨어 소프트웨어의 개발이다. Rack는 웹 서버로의 요청을 처리해서 웹 프레임워크로 전달하고, 웹 프레임워크의 응답을 처리해서 웹 서버로 전달하기 위...

Ruby thread

Ruby thread새로운 언어를 배워야 겠다는 생각이 들적에 사용하는 나름의 방식이 있다. 1. 문법은 대략 쭉 훑어 본다. 문법을 외울 것도 아니고, 그럴 필요성도 못 느끼겠다. 쭈욱 읽어 내려간 다음, 몇 줄이라고 코드를 짜보면서 익힌다. 1. 자료구조 관련된 것들 훑어본다. 배열, 해쉬, 맵, set 등등 1. 파일 관리 쪽 본다. 1. 를 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