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sgenie를 이용한 AWS 인프라 이벤트 관리 시스템 구성

나는 인터넷 서비스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활동을 아래와 같이 정의 한다. 문서화 테스트가 포함된 모니터링, 관제 시스템 및 장애(인시던트)관리 프로세스 모니터링 결과는 결국 알람과 인시던트의 형태로 출력된다. 알람과 인시던트는 업무처리 시스템에 따라서 처리를 해야 한다 대략적인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을 것이다. 이벤트, 경고(alert),...

AWS Network Mindmap

아래의 마인드맵에 따라서 학습하려 한다. 1. 각 학습 내용들은 aws network 태그로 관리한다. 1. 만들어진 문서는 여기에서 확인 할 수 있도록 링크를 건다. ...

AWS IAM 모범 사례

IAM은 AWS 자원에 대한 인증, 접근 제어를 목적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다. 인프라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서비스다.여기에서는 IAM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모범 살계를 정리한다. 강력한 패스워드의 사용은 필수 이지만 이것 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대부분의 인증관련 침해사고는 패스워드 유출로 발생한다. 를 이용해서 다중 인증 시스템을 구성하...

MFA

MFA(Multi-factor authentication)는 두 가지 이상의 인증 방식을 성공적으로 통과해야지만 사용자에게 접근 권한을 주는 인증 방식이다. 보통 아이디/패스워드를 1차 기본인증 수단으로 하고, 여기에 다른 보조인증 수단을 추가하는 방식이다.MFA의 하위 인증 유형으로 2FA(Two-factor authentication)이 있다. MFA를...

IAM - AWS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이제 우리는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해서 인터넷상에 가상의 IDC를 만들고 그 위에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게됐다. 클라우드 제공업체는 컴퓨팅 파워, 스토리지,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개발 환경의 풀을 가지고 있으며 유저가 요청하면 이 풀에서 적당량만을 떼서 제공한다. AWS는 기존의 IDC가 그랬던 것처럼 컴퓨팅파워, 스토리지, 네트워크등에 대해서 ...

CloudWatch

CloudWatch는 1. AWS 클라우드 리소스와 1. AWS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모니터링 서비스다. 나는 특히 2번에 관심이 많다. 애플리케이션 로그는 보통 ELK 스택을 이용하기 마련이다. ELK는 매우 훌륭한 툴이긴 한데, 인프라 구성이 다양해 지면서 통합관리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예컨데 EC2 기반으로만 한다면, 인스턴스 실...

golang - aws region 목록 가져오기

AWS GoLang SDK를 이용해서 AWS의 전체 리전(region)목록을 가져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로 했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최신의 AWS Region 정보를 보여주는 Joinc Wiki Plugin 개발에 사용 한다. 코드는 아래와 같다. 설명은 주석으로 대신한다.package mainimport ( "fmt" "github.com/aws/aws-...

AWS 가입하기

AWS를 사용해본적이 없다고 하더라도 글로벌한 클라우드를 서비스 혹은 아마존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라는 것은 들어봤을 겁니다. 인터넷 서비스를 하기위해서 예전에는 물리적인 네트워크 장비, 서버 장비를 데이터센터 혹은 회사 전산실에 들여 놓은 다음에, 운영체제 설치하고 설정하고 엄청난 시간을 들여서 인프라를 구축했습니다.지금은 이 과정이 "소프트웨어화 ...

AWS Key Management Service

AWS KMS는 데이터의 암호화를 위해서 사용하는 관리형 서비스다. KMS는 고가용성의 키 저장소와 관리 감사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이용해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를 암호화 할 수 있으며, AWS 서비스에 저장되는 데이터(예를들어 S3에 저장되는 파일)을 암호화하기 위한 키를 (안전하게)관리 할 수 있다. AWS KMS에서 생성한 마스터 키는 F...

Serverless Aurora

는 컴퓨팅 노드와 스토리지를 분리하는 것으로 확장성과 성능, 유연성을 확보했다. 그래도 여전히 컴퓨팅을 담당하는 EC2 인스턴스는 필요했다. AWS는 2018년 서버노드가 전혀 필요 없는 말 그대로의 서버리스(Serverless) Aurora 서비스를 출시했다. Aurora 서버리스는 온디맨드 방식으로 제공되며, 자동으로 크기가 조정되는 서버리스 Aur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