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cket

packet데이터 통신을 할때 데이터만 보내지 않고 데이터에 여러가지 정보를 (헤더형식으로) 덧붙여서 보내는 통신방식이 있다. 가장 대표적인게 TCP/IP기반의 인터넷 통신인데, 인텟의 특성상 단일 경로를 가지지 않고 데이터가 보내어지기 때문에, 데이터앞에 데이터가 어디로 보내어지는지 데이터의 순서가 어떻게 되는지등의 정보를 포함시켜야 한다. 즉 데이터를...

Phusion Passenger

Phusion PassengerPhusion Passenger(Ruby 커뮤니티에서는 mod_rails와 mod_rack으로 불린다) Ruby, Python Node.js 를 지원하는 웹 서버다. Apache 웹 서버, Nginx 웹서버와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외부 웹서버의 도움 없이 단독으로 실행할 수도 있다. 원래는 Ruby on Rails 프레임...

프로토타입 리뷰

프로토타입 리뷰프로토타입은 시제품으로 보면 될것 같다. 모양이 완전히 갖추어진 상태가 아닌 제품으로, 주요 기능들만을 구현한 제품을 프로토타입이라고 한다.프로토타입 프로그램(뼈대 프로그램이라고도 하는것 같다)은 만들기 위해서 별도의 시간을 투자해야 하기 때문에, 만들어야 하는 것에 대해서 거부감을 가진 경우가 많은 것 같다. 그러나 프로토타입 프로그램을 ...

UDP 소개

UDP 소개UDP는 User Datagram Protocol 의 약자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데이터를 데이터그램 단위로 처리하는 프로토콜로 전송계층에 위치한다. TCP(End Systems 서비스란 요청을 받은 쪽에서, 데이터를 처리해서 결과를 보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가 SNMP(이러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프로토콜 때문에, U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