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igBeeZigBee는 personal area network영역에서의 고수준 커뮤니케이션 프로토콜이다. 개인영역, 즉 근거리에서의 통신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소형, 저전력, 낮은 가격을 지향한다. IEEE 802.15 표준을 기반으로 한다. ZigBee는 저속 데이터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위해서 사용한다. ZigBee는 250kbit/s의 통신속도를 ...
윈속 구조체 소켓 데이터의 송수신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보내기 위해서 사용하는 버퍼.typedef struct __WSABUF { u_long len; char FAR buf;} WSABUF, LPWABUF; len 버퍼의 바이트 크기. buf 버퍼의 포인터WSABUF DataBuf;char SendBuf = "Test data to send.";in...
WSANETWORKEVENTS 구조체WSANETWORKEVENTS 구조체는 소켓(typedef struct _WSANETWORKEVENTS { long lNetworkEvents; int iErrorCode;} WSANETWORKEVENTS, LPWSANETWORKEVENTS; lNetworkEvents FD_XXX 네트워크 이벤트에 대해서 측정된 이벤트...
리눅스 맨 페이지 ping, ping6 - 원격 네트워크 호스트에 ICMP(ping는 ICMP 프로토콜에서 제공하는 명령인 ECHO_REQUEST 데이터그램을 클라이언트에 전송하고 응답을 기다리고, 그 응답시간을 측정한다.ping destination -c __count__ __count__ 만큼 ECHO_REQUEST 패킷을 보낸다. -R 경로정보...
레거시 시스템의 클라우드 통합프라이빗 클라우드를 도입할 경우 기존의 레거시 시스템을 어떻게 통합할 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 기존의 레거시 시스템과 독립적으로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하거나 혹은 레거시를 모두 클라우드 환경으로 이전하는 방법이 있을 것인데, 전자의 경우는 시스템 통합 측면에서 그림이 예쁘지 않고 후자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등으로)불가능하거나...
Device Discovery 프로토콜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기기를 찾기 위한 방법을 알아본다. 기기를 근거리에서 연결하던, 인터넷에 연결하던지 간에 일단은 discovery(찾을)할 필요가 있다. 기기를 discover하지 않더라도 유저가 직접 기기 앞에서 - NFC, bluetooth 혹은 기기를 wifi AP로 설정해서 - 등록하는 방법이 있겠으나, ...
인터넷을 통한 디바이스 연결IOT든 M2M이든지 간에 작동을 하려면 인터넷에 연결이 되야한다. 이를 위해서 해결해야 할 다양한 문제들이 있다. wiki 모듈을 장착할 수 있는 큰(그리고 값 비싼) 가전기기들이 있는 반면, wifi 모듈을 붙이기 힘든 작은 크기의 디바이스들도 있기 때문이다. 예컨데 손목이나 몸에 부착하는 웨어러블(wareable)기기들은 ...
IoT Local 보안 미완성TCP/IP 기반의 인터넷은 근본적으로 보안에 취약하다. 다행인 것은 오랜 역사와 함께 상업적으로도 크게 성공했다는 점이다. 이런 점 때문에 보안 취약점에 대한 많은 조사가 이루어졌고,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많은 훌륭한 솔류션들이 있어서 운신의 폭이 넓다. 나는 여기에서 IoT 보안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려 한다. 대략 아...
213 POSTS HERE
ZigBee
ZigBeeZigBee는 personal area network영역에서의 고수준 커뮤니케이션 프로토콜이다. 개인영역, 즉 근거리에서의 통신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소형, 저전력, 낮은 가격을 지향한다. IEEE 802.15 표준을 기반으로 한다. ZigBee는 저속 데이터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위해서 사용한다. ZigBee는 250kbit/s의 통신속도를 ...
소켓연결을 시도한다.
소켓연결을 시도한다. ...
WIN32_FIND_DATA 구조체
WIN32_FIND_DATA 구조체FindFirstFile(), FindFirstFileEx, FindNextFile() 함수로 찾은 파일(typedef struct _WIN32_FIND_DATA { DWORD dwFileAttributes; FILETIME ftCreationTime; FILETIME ftLastAccessTime; FILETIME ft...
윈속 구조체 : WSABUF 구조체
윈속 구조체 소켓 데이터의 송수신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보내기 위해서 사용하는 버퍼.typedef struct __WSABUF { u_long len; char FAR buf;} WSABUF, LPWABUF; len 버퍼의 바이트 크기. buf 버퍼의 포인터WSABUF DataBuf;char SendBuf = "Test data to send.";in...
WSANETWORKEVENTS 구조체
WSANETWORKEVENTS 구조체WSANETWORKEVENTS 구조체는 소켓(typedef struct _WSANETWORKEVENTS { long lNetworkEvents; int iErrorCode;} WSANETWORKEVENTS, LPWSANETWORKEVENTS; lNetworkEvents FD_XXX 네트워크 이벤트에 대해서 측정된 이벤트...
리눅스 맨 페이지 : ping
리눅스 맨 페이지 ping, ping6 - 원격 네트워크 호스트에 ICMP(ping는 ICMP 프로토콜에서 제공하는 명령인 ECHO_REQUEST 데이터그램을 클라이언트에 전송하고 응답을 기다리고, 그 응답시간을 측정한다.ping destination -c __count__ __count__ 만큼 ECHO_REQUEST 패킷을 보낸다. -R 경로정보...
레거시 시스템의 클라우드 통합
레거시 시스템의 클라우드 통합프라이빗 클라우드를 도입할 경우 기존의 레거시 시스템을 어떻게 통합할 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 기존의 레거시 시스템과 독립적으로 클라우드 환경을 구축하거나 혹은 레거시를 모두 클라우드 환경으로 이전하는 방법이 있을 것인데, 전자의 경우는 시스템 통합 측면에서 그림이 예쁘지 않고 후자는 (소프트웨어적인 특성등으로)불가능하거나...
Device Discovery 프로토콜
Device Discovery 프로토콜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기기를 찾기 위한 방법을 알아본다. 기기를 근거리에서 연결하던, 인터넷에 연결하던지 간에 일단은 discovery(찾을)할 필요가 있다. 기기를 discover하지 않더라도 유저가 직접 기기 앞에서 - NFC, bluetooth 혹은 기기를 wifi AP로 설정해서 - 등록하는 방법이 있겠으나, ...
인터넷을 통한 디바이스 연결
인터넷을 통한 디바이스 연결IOT든 M2M이든지 간에 작동을 하려면 인터넷에 연결이 되야한다. 이를 위해서 해결해야 할 다양한 문제들이 있다. wiki 모듈을 장착할 수 있는 큰(그리고 값 비싼) 가전기기들이 있는 반면, wifi 모듈을 붙이기 힘든 작은 크기의 디바이스들도 있기 때문이다. 예컨데 손목이나 몸에 부착하는 웨어러블(wareable)기기들은 ...
IoT Local 보안
IoT Local 보안 미완성TCP/IP 기반의 인터넷은 근본적으로 보안에 취약하다. 다행인 것은 오랜 역사와 함께 상업적으로도 크게 성공했다는 점이다. 이런 점 때문에 보안 취약점에 대한 많은 조사가 이루어졌고,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많은 훌륭한 솔류션들이 있어서 운신의 폭이 넓다. 나는 여기에서 IoT 보안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려 한다. 대략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