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 구현해 보자. oAuth1.0

직접 구현해 보자. oAuth1.0 미완성처음에는 oAuth2 만 살펴보려고 했다. 새로 개발하는 서비스들은 대부분 oAuth2 우선이고, 기존에 oAuth1부터 시작했던 서비스들도 oAuth2로 무게중심을 옮겨가는 와중이니, 굳이 oAuth1을 살펴볼 필요는 없으리라고 생각을 했다.하지만 oAuth1와 oAuth2를 동시에 지원해야 할 일이 생겨서...

URL : Uniform Resource Locator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의 약어로 WWW(World Wide Web)상에서 문서와 다른 자원들(이미지, 동영상 등)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한다. URL은 사용하기 위해서 표준적인 규칙을 따라야 한다. 인증이 필요한 서비스와 그렇지 않은 서비스의 형식이 다르다.크게 3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첫번째 부분은 사용할 프로토콜의 ...

STOMP - Simple Text Oriented Messaging Protocol

STOMP - Simple Text Oriented Messaging Protocol STOMP는 스트리밍 텍스트 기반의 간단한 스트리밍 메시지 프로토콜이다. HTTP로 부터 영감을 받은 디자인 덕분에 읽고 쓰기가 매우 쉽다는 장점이 있다. 단순하며, 읽고 쓰기가 쉽다는 것은 클라이언트 측에서는 당연한 장점이긴 한데, 대신 서버측에서 구현해야 할게 많아진...

REST에 대하여

REST에 대하여나는 PHP 웹 프로그래머로 이 바닥에 들어섰다. 그 후에 시스템/네트워크 프로그래머로 방향을 틀었고, 웹 기반 프로그래밍은 사이트를 유지/보수하는 수준에 머물렀다. 예컨데, 취미생활(moniwiki 커스터마이징)을 영위하기 위한 방편이라고나 할까. 물론 워낙에 프로젝트들이 와 얽혀있는 경우가 많아서, 완전히 손을 떼었다고는 할 수 없는 ...

HTTP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다. WWW에서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W3C(12)에서 관리하고 있다. HTTP는 요청과 응답으로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는 전형적인 서버/클라이언트 프로토콜이다. HTTP 클라이언트는 웹브라우저이며, Apache(12)와 같은 프로그램이 서버 프로그램이 된다. HTTP는 ...

텍스트 브라우저 w3m 사용자 가이드

텍스트 브라우저 w3m 사용자 가이드w3m은 lynx(정보에 대한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필요한 텍스트만 얻어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시각적으로 보기 쉽게 정보를 보여줄수 있어야 하며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lynx는 시각적인 면과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충족시키지 못한다. w3m은 이를테면 필요한 정보로의 집중 빠른 정보접근 ...

QOS - HTTP Submit Process

QOS - HTTP Submit Process다음과 같은 2가지 사항에 대해서 체크한다면, 웹서비스에 대한 기본적인 품질 체크는 가능할 것이다. 1. 페이지 응답체크 1. 페이지 응답시간여기에 덧붙여서 Submit Process까지 체크한다면, 더 나은 품질 모니터링 환경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어떤 웹서비스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고 싶을 경우, PO...

HTTP Cache 제어

HTTP Cache 제어 미완성기본적으로 나는 HTTP 기반 서비스를 만들 때, 성능을 우선 생각하지는 않는다. 우선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 요청에 따라서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지(쉽게 확장 가능한지)와 서버 몇 놈이 뻗더라도 서비스는 문제없이 작동하는 가용성을 중하게 생각한다. 초기에 성능은 유저가 "젠장! 느리잖아?"라는 말이 나오지 않을 수...

Apache 디렉토리 인증

Apache 디렉토리 인증만드는 중이 파일을 인증이 필요한 디렉토리에 .htaccess이름으로 저장한다.AuthName "UserPasswd"AuthType BasicAuthUserFile /etc/htpasswd/userAuthGroupFile /dev/nullrequire valid-user AuthUserF...

Diving In HTML5

Diving In HTML5 출처 HTML5는 HTML의 차세대 버전으로, HTML 4.01, XHTML 1.0, XHTML 1.1를 대신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HTML5는 현대적인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해서 필요한 여러 기능들을 가지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HTML 4.01이 단지 문서를 출력하는데 중점이 맞추어져 있어서, 구조적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