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가 많은 사이트다. 그래 아래처럼 웹에서 직접 코드를 수정도 하고 실행도 할 수 있도록 코드 실행기를 붙였다. 유용하긴 한데, 코드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는 방식이라서 표준입력이나 python interactive mode등을 사용 할 수 없다. 그래서 웹 터미널 애플리케이션을 찾아보기로 했다.구글님에게 물어 물어서 언어 기반이고 tty.j...
프로토콜의 가장 큰 장점중 하나는 "견고하면서도 간단하다"는 점이다. 프로토콜은 인간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영문 알파벳으로 이루어지며, 필수 헤더 10개 정도면 애플리케이션의 제작이 가능하다. 게다가 인터넷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프로토콜이기도 하다.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엄청난 수의 서버/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들과 역시 엄청난 수의 (게다가 품질도 뛰어...
Uniform Resource Identifiers 의 줄임말이다. World Wide Web (WWW(12))상에서 접근하고자 하는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한다. 자원은 "문서", "이미지", "동영상", "프로그램", "이메일"등 모든 것이 될 수 있다. 메일을 받을 상대방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하는 emailURI는 URL과 URL으...
ARPNETARPNET은 최초로 패킷 스위칭기반의 네트워크가 도입되었으며, 글로벌 의 시초가 된 네트워크다. ARPNET은 미국방성의 고등연구계획국(ARPA)의 주도하에 만들어진 네트워크로, 프로젝트를 주도한 ARPA와 네트워크의 NET을 합하여 ARPANET이라고 부르게 됐다. ARPNET의 핵심이 되는 기술은 패킷스위칭기술로, 데이터를 하나의 완전한 ...
DNS - Domain Name SystemDNS(Domain Name System)은 인터넷이나 사설망(private network)에서 컴퓨터나 서비스 등의 리소스를 위한 계층적 분산 네이밍 시스템이다. 가장 두드러진 사용 목적은 컴퓨터와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IP 주소를 사람이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도메인 이름 서비스다. 예를들어 www...
DOM - Document Object ModelDOM(Document Object Model)은 플랫폼과 언어 중립적으로 구조화된 문서를 표현하고, 접근하기 위해서 개발한 W3C의 공식 표준이다. 처음에는 HTML로 표현된 문서에 접근하기 위해서 개발됐으며, 이후 XHTML, XML 문서들을 접근/재현하기 위한 용도로 확장됐다. 잘 구조화된 DOM 문서...
FTPFileile Transfer Protocol의 줄임말이다. 하나의 호스트에서 다른 호스트로 파일을 옮기기 위한 기반 프로토콜이다. 보통 FTP는 웹상에 파일을 올리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FTP는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른다.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연결해서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 요청을 하고, 요청을 받은 서버가 응답 데이터로 파일...
FirefoxFirefox는 Mozilla의 차세대 웹브라우저로 필요한 기능만을 제공함으로써 더욱 빠르고, 안전하고 편리한 웹브라우징 환경을 제공한다. 필요한 기능만을 제공한다고는 하지만 팝업차단, 탭브라우징, 스마트검색, Plug in 개념의 기능확장, 테마등 필수적인 대부분의 기능을 지원한다. 특히 탭브라우징기능은 다수의 웹사이트를 쉽게 브라우징할 수...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의 줄임말이다.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언어이다. 현재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대부분의 데이터는 HTML로 만들어져있다. HTML의 특징은 Hyper Text라는 이름에서도 볼 수 있듯이, 각 단어가 링크를 이룸으로써 에 흩어져 있는 웹페이지들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도와준다는 점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다. WWW에서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W3C(12)에서 관리하고 있다. HTTP는 요청과 응답으로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는 전형적인 서버/클라이언트 프로토콜이다. HTTP 클라이언트는 웹브라우저이며, Apache(12)와 같은 프로그램이 서버 프로그램이 된다. HTTP는 ...
91 POSTS HERE
tty.js
코드가 많은 사이트다. 그래 아래처럼 웹에서 직접 코드를 수정도 하고 실행도 할 수 있도록 코드 실행기를 붙였다. 유용하긴 한데, 코드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는 방식이라서 표준입력이나 python interactive mode등을 사용 할 수 없다. 그래서 웹 터미널 애플리케이션을 찾아보기로 했다.구글님에게 물어 물어서 언어 기반이고 tty.j...
websocket
프로토콜의 가장 큰 장점중 하나는 "견고하면서도 간단하다"는 점이다. 프로토콜은 인간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영문 알파벳으로 이루어지며, 필수 헤더 10개 정도면 애플리케이션의 제작이 가능하다. 게다가 인터넷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프로토콜이기도 하다.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엄청난 수의 서버/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들과 역시 엄청난 수의 (게다가 품질도 뛰어...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s 의 줄임말이다. World Wide Web (WWW(12))상에서 접근하고자 하는 자원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한다. 자원은 "문서", "이미지", "동영상", "프로그램", "이메일"등 모든 것이 될 수 있다. 메일을 받을 상대방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하는 emailURI는 URL과 URL으...
ARPNET
ARPNETARPNET은 최초로 패킷 스위칭기반의 네트워크가 도입되었으며, 글로벌 의 시초가 된 네트워크다. ARPNET은 미국방성의 고등연구계획국(ARPA)의 주도하에 만들어진 네트워크로, 프로젝트를 주도한 ARPA와 네트워크의 NET을 합하여 ARPANET이라고 부르게 됐다. ARPNET의 핵심이 되는 기술은 패킷스위칭기술로, 데이터를 하나의 완전한 ...
DNS - Domain Name System
DNS - Domain Name SystemDNS(Domain Name System)은 인터넷이나 사설망(private network)에서 컴퓨터나 서비스 등의 리소스를 위한 계층적 분산 네이밍 시스템이다. 가장 두드러진 사용 목적은 컴퓨터와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IP 주소를 사람이 쉽게 인지할 수 있는 도메인 이름 서비스다. 예를들어 www...
DOM - Document Object Model
DOM - Document Object ModelDOM(Document Object Model)은 플랫폼과 언어 중립적으로 구조화된 문서를 표현하고, 접근하기 위해서 개발한 W3C의 공식 표준이다. 처음에는 HTML로 표현된 문서에 접근하기 위해서 개발됐으며, 이후 XHTML, XML 문서들을 접근/재현하기 위한 용도로 확장됐다. 잘 구조화된 DOM 문서...
FTP
FTPFileile Transfer Protocol의 줄임말이다. 하나의 호스트에서 다른 호스트로 파일을 옮기기 위한 기반 프로토콜이다. 보통 FTP는 웹상에 파일을 올리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FTP는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른다.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연결해서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 요청을 하고, 요청을 받은 서버가 응답 데이터로 파일...
Firefox
FirefoxFirefox는 Mozilla의 차세대 웹브라우저로 필요한 기능만을 제공함으로써 더욱 빠르고, 안전하고 편리한 웹브라우징 환경을 제공한다. 필요한 기능만을 제공한다고는 하지만 팝업차단, 탭브라우징, 스마트검색, Plug in 개념의 기능확장, 테마등 필수적인 대부분의 기능을 지원한다. 특히 탭브라우징기능은 다수의 웹사이트를 쉽게 브라우징할 수...
HTML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의 줄임말이다.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언어이다. 현재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대부분의 데이터는 HTML로 만들어져있다. HTML의 특징은 Hyper Text라는 이름에서도 볼 수 있듯이, 각 단어가 링크를 이룸으로써 에 흩어져 있는 웹페이지들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도와준다는 점이...
HTTP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다. WWW에서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W3C(12)에서 관리하고 있다. HTTP는 요청과 응답으로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는 전형적인 서버/클라이언트 프로토콜이다. HTTP 클라이언트는 웹브라우저이며, Apache(12)와 같은 프로그램이 서버 프로그램이 된다. HTTP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