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의 Cloud RDBMS(관계형 데이터베이스)서비스다. MySQL과 PostgreSQL와 같은 전통적인 RDBMS를 클라우드 기반의 RDBMS로 수정해서 서비스 한다. MySQL과 PostgreSQL을 근간으로 하기 때문에 사용법이 동일하며, 애플리케이션의 수정 없이 즉시 사용 할 수 있다. ...
약 2년 정도 AWS 위에서 2개의 서비스를 개발했고, 서비스 아키텍처로 참여했다. 운 좋게 이들 서비스는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였고 복잡한 서비스 였으며, 역시 운이 좋게도 (스타트업이나 인터넷 서비스 기업이 아닌)기성기업의 요구를 만족하는 서비스여야 했다.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복잡한 서비스라면 배울게 많으니 운이 좋다라고 생각할 수 있겠는...
이제 Docker는 인터넷 서비스 산언에서는 사실상 표준입니다. 간단한 개발 환경 구축에서 부터 시작해서, Docker swarm을 이용한 서비스 좀 더 나아가서 ECS와 Kubernetes와 같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툴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기반의 인터넷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운영하기도 합니다. 몇 개의 챕터에 걸쳐서 가상화, docker에 대한 개념,...
Tunneling클라우드 환경에서 네트워크 가상화는 스토리지 가상화와 함께 가장 큰 이슈다. 네트워크를 가상화 하기 위한, 즉 논리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오랫동안 VLAN을 사용해왔다. 하지만 VLAN은 몇 가지 치명적일 수도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1. VLAN 크기가 4029로 제한된다. 4029개 이상의 논리적 네트워크를 ...
베어메탈(bare metal), 가상 머신 기반의 가상화(Virtualization) 과 비교해서 컨테이너 기술을 설명한다. 이들 기술과 비교해서 컨테이너 기술이 가진 특징이 무엇인지, 어떤 장점때문에 컨테이너 기술을 사용하는지 그리고 어떤 단점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 본다.하드웨어를 다루는 엔지니어가 아닌 소프트웨어 개발자에게 베어메탈이란 다소 생소한 용어...
NTP(Network Time Protocol)은 지연이 있을 수 있는 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와 컴퓨터간의 시간을 동기화 하기 위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 1985년부터 사용한 프로토콜로 가장 오래된 인터넷 프로토콜 중의 하나다. NTP는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는데, 각각의 계층은 상위 계층으로 부터 시간을 동기화 한다. 계층은 지역을 기반으로 구성되는데,...
본격적으로 주키퍼(zookeeper)를 활용 해야 할 때가 왔다. 활용전에 주키퍼의 기본 기능들을 살펴보려 한다.설치 환경은 다음과 같다. VirtualBox 주키퍼 클러스터 주키퍼 노드 아래와 같이 구성한다.3개의 주키퍼 노드로 주키퍼 클러스터를 만든다. 주키퍼 노드의 이름은 zk-01, zk-02, zk-03이다. 테스트를 위해서 두 개의 노드를 준비...
Mesos는 분산 시스템 커널(distributed systems kernel)이다. 뭔가 굉장히 복잡해 보이지만, 기본 개념은 간단하다. 네트워크로 묶여 있는 여러 개의 컴퓨터의 자원 즉, CPU, 메모리, 디스크 등의 자원을 하나로 묶어서 resource pool로 만들어서 마치 하나의 컴퓨터 처럼 보이게 하겠다는 거다. 그리고 커널로서 작동하기 위한 ...
KVM(kernel based Virtual Machine)을 위한 OVS 네트워크 구성에 대해서 알아본다. 테스트 환경은 다음과 같다. 우분투 리눅스 15.04 Open vSwitch 2.3.1 KVM은 tunctl을 이용해서 브릿지 모드의 여러 기능들을 통제한다. apt-get을 이용해서 설치하자. # apt-get install uml-utilitie...
OpenVSwitch우선 여기에 정리하고, 나중에 옮긴다.가상 스위치(Virtual Switch)란 가상 네트워크(Virtual Network)에서 VM을 위해서 제공되는 스위치를 의미한다. 이 스위치는 호스트 운영체제에서 소프트웨어 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가상 스위치라고 부른다. 이 가상 스위치는 물리적 스위치와 연결된다. 1. vSwitch가 VM...
213 POSTS HERE
Aurora
AWS의 Cloud RDBMS(관계형 데이터베이스)서비스다. MySQL과 PostgreSQL와 같은 전통적인 RDBMS를 클라우드 기반의 RDBMS로 수정해서 서비스 한다. MySQL과 PostgreSQL을 근간으로 하기 때문에 사용법이 동일하며, 애플리케이션의 수정 없이 즉시 사용 할 수 있다. ...
AWS를 이용한 Global 서비스 인프라 설계
약 2년 정도 AWS 위에서 2개의 서비스를 개발했고, 서비스 아키텍처로 참여했다. 운 좋게 이들 서비스는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였고 복잡한 서비스 였으며, 역시 운이 좋게도 (스타트업이나 인터넷 서비스 기업이 아닌)기성기업의 요구를 만족하는 서비스여야 했다.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복잡한 서비스라면 배울게 많으니 운이 좋다라고 생각할 수 있겠는...
가상화와 도커에 대해서
이제 Docker는 인터넷 서비스 산언에서는 사실상 표준입니다. 간단한 개발 환경 구축에서 부터 시작해서, Docker swarm을 이용한 서비스 좀 더 나아가서 ECS와 Kubernetes와 같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툴을 이용하여 컨테이너 기반의 인터넷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운영하기도 합니다. 몇 개의 챕터에 걸쳐서 가상화, docker에 대한 개념,...
Tunneling
Tunneling클라우드 환경에서 네트워크 가상화는 스토리지 가상화와 함께 가장 큰 이슈다. 네트워크를 가상화 하기 위한, 즉 논리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오랫동안 VLAN을 사용해왔다. 하지만 VLAN은 몇 가지 치명적일 수도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1. VLAN 크기가 4029로 제한된다. 4029개 이상의 논리적 네트워크를 ...
도커와 가상화
베어메탈(bare metal), 가상 머신 기반의 가상화(Virtualization) 과 비교해서 컨테이너 기술을 설명한다. 이들 기술과 비교해서 컨테이너 기술이 가진 특징이 무엇인지, 어떤 장점때문에 컨테이너 기술을 사용하는지 그리고 어떤 단점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 본다.하드웨어를 다루는 엔지니어가 아닌 소프트웨어 개발자에게 베어메탈이란 다소 생소한 용어...
AWS에서 NTP 설정
NTP(Network Time Protocol)은 지연이 있을 수 있는 네트워크 상에서, 컴퓨터와 컴퓨터간의 시간을 동기화 하기 위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 1985년부터 사용한 프로토콜로 가장 오래된 인터넷 프로토콜 중의 하나다. NTP는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는데, 각각의 계층은 상위 계층으로 부터 시간을 동기화 한다. 계층은 지역을 기반으로 구성되는데,...
Zookeeper를 이용한 분산코디네이터 구성
본격적으로 주키퍼(zookeeper)를 활용 해야 할 때가 왔다. 활용전에 주키퍼의 기본 기능들을 살펴보려 한다.설치 환경은 다음과 같다. VirtualBox 주키퍼 클러스터 주키퍼 노드 아래와 같이 구성한다.3개의 주키퍼 노드로 주키퍼 클러스터를 만든다. 주키퍼 노드의 이름은 zk-01, zk-02, zk-03이다. 테스트를 위해서 두 개의 노드를 준비...
Mesos
Mesos는 분산 시스템 커널(distributed systems kernel)이다. 뭔가 굉장히 복잡해 보이지만, 기본 개념은 간단하다. 네트워크로 묶여 있는 여러 개의 컴퓨터의 자원 즉, CPU, 메모리, 디스크 등의 자원을 하나로 묶어서 resource pool로 만들어서 마치 하나의 컴퓨터 처럼 보이게 하겠다는 거다. 그리고 커널로서 작동하기 위한 ...
OpenvSwitch를 이용한 KVM 네트워크 구성
KVM(kernel based Virtual Machine)을 위한 OVS 네트워크 구성에 대해서 알아본다. 테스트 환경은 다음과 같다. 우분투 리눅스 15.04 Open vSwitch 2.3.1 KVM은 tunctl을 이용해서 브릿지 모드의 여러 기능들을 통제한다. apt-get을 이용해서 설치하자. # apt-get install uml-utilitie...
OpenVSwitch
OpenVSwitch우선 여기에 정리하고, 나중에 옮긴다.가상 스위치(Virtual Switch)란 가상 네트워크(Virtual Network)에서 VM을 위해서 제공되는 스위치를 의미한다. 이 스위치는 호스트 운영체제에서 소프트웨어 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가상 스위치라고 부른다. 이 가상 스위치는 물리적 스위치와 연결된다. 1. vSwitch가 V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