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AWS 화이트페이퍼 문서인 의 번역 문서다. 스터디 목적으로 개인이 번역한 문서다. 이 가이드 문서는 고객에게 AWS 클라우드 환경에서 발생 할 수 있는 보안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기본적인 보안개요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클라우드 보안 및 사고 대응 개념을 살펴보고 보안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능, 서비스, 매커니즘등을 기술한...
의 요약문서다. 개인 학습을 목적으로 요약했다. 전 세계 기업의 데이터엔지니어, 분석가, 개발자들은 DW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분석해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들을 만들고 있다. 기존의 DW는 성능개선과 비용 효율성을 위해서 클라우드로 마이그레이션하고 있다. 이 문서는 AWS에서 사용 할 수 있는 DW 서비스를 소개하며, 일반적인 설계 패턴을 제시함으로써 ...
이 문서는 AWS ELB 의 소개 문서다. 활용 정보는 담고 있지 않다.Elastic Load balancing는 여러개의 가용영역(Availability)에 존재하는 아마존 EC2 인스턴스, 컨테이너와 IP 주소와 같은 목적지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산해서 전달하는 일을 한다. Elastic Load balancing는 애플리케이션으로 향하는 트래픽을 골고...
AWS(Amazon Web Service)는 글로벌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로 전 세계에 걸쳐서 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를 서비스 한다. 이 문서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를 구성하는 중요 요소들을 살펴볼 것이다.살펴볼 구성요소들은 아래와 같다. 리전(Regions)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s) Edge Locatio...
원래는 Prometheus를 기반으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할 계획이었으나 여러 이유로 influxDB를 기반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게 됐다. 구성 과정을 기록으로 남긴다. 운영 중인 www.joinc.co.kr를 모니터링 한다. www.joinc.co.kr 서버는 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론상 CloudWatch 만으로 모니터링 시스템 구성이 가...
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봤으니, 클러스터를 구성해보려 한다. KVM을 이용해서 3개의 consul 노드를 실행한다. 로 쉽게 설치할 수 있겠지만 노가다를 뛰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아서. 노드는 우분투 리눅스 서버 18.10을 설치한다. 호스트 운영체제에서 Go 예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서 실행한다.노드 이름은 consul01, consul02, consu...
인터넷에는 AWS 사용 방법에 대한 유용한 정보들이 넘쳐난다. 좋은 일이기는 하지만, 너무 정보가 많아서 체계적으로 학습하기가 쉽지 않다. AWS 학습에 즉시 써먹을 수 있는 무료 교육 자료들을 정리했다. 에 350개 주제의 무료 디지털 자료를 제공한다. 각 주제에 대해서 참가자가 실습을 통해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여기에서 다루는 주제들은 컴퓨터...
서비스 인프라를 구성 할 때, 프러덕션 인프라 하나만 구성하는 경우는 없다. CICD 환경울 구성했다면 최소 두 단계, 일반적으로 3단계의 인프라가 구성된다. Dev QA Production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인프라도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다. 개발이 여러 단계를 거치는 것처럼, 인프라도 여러 단계를 거치면서 테스트, 피드백, 개선의 작업을 거쳐야 한다....
서버리스 아키텍처의 장점은 아래와 같다. 1. 비용 1. 확장성과 유연성 1. 생산성 물론 단점도 있다.(마법의 은탄환은 없는 법이라서) 1. 성능 1. 보안 1. 프라이버시 AWS Lambda는 AWS에서 제공하는 컴퓨팅 관련 서버리스 서비스다. 서버리스라는게 개념은 아주 예쁘지만 "서버가 없고" 많은 기능들이 추상화 돼 있기 때문에 개발 & 테...
213 POSTS HERE
AWS Security Incident Response Guide
이 문서는 AWS 화이트페이퍼 문서인 의 번역 문서다. 스터디 목적으로 개인이 번역한 문서다. 이 가이드 문서는 고객에게 AWS 클라우드 환경에서 발생 할 수 있는 보안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기본적인 보안개요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클라우드 보안 및 사고 대응 개념을 살펴보고 보안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클라우드 기능, 서비스, 매커니즘등을 기술한...
Enterprise data warehousing on aws
의 요약문서다. 개인 학습을 목적으로 요약했다. 전 세계 기업의 데이터엔지니어, 분석가, 개발자들은 DW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분석해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들을 만들고 있다. 기존의 DW는 성능개선과 비용 효율성을 위해서 클라우드로 마이그레이션하고 있다. 이 문서는 AWS에서 사용 할 수 있는 DW 서비스를 소개하며, 일반적인 설계 패턴을 제시함으로써 ...
Elastic Load Balancing - User Guide
이 문서는 AWS ELB 의 소개 문서다. 활용 정보는 담고 있지 않다.Elastic Load balancing는 여러개의 가용영역(Availability)에 존재하는 아마존 EC2 인스턴스, 컨테이너와 IP 주소와 같은 목적지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산해서 전달하는 일을 한다. Elastic Load balancing는 애플리케이션으로 향하는 트래픽을 골고...
AWS 글로벌 인프라 스트럭처
AWS(Amazon Web Service)는 글로벌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로 전 세계에 걸쳐서 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를 서비스 한다. 이 문서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를 구성하는 중요 요소들을 살펴볼 것이다.살펴볼 구성요소들은 아래와 같다. 리전(Regions)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s) Edge Locatio...
Grafana, InfuxDB, Telegraf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성
원래는 Prometheus를 기반으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할 계획이었으나 여러 이유로 influxDB를 기반으로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성하게 됐다. 구성 과정을 기록으로 남긴다. 운영 중인 www.joinc.co.kr를 모니터링 한다. www.joinc.co.kr 서버는 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론상 CloudWatch 만으로 모니터링 시스템 구성이 가...
Consul Multi node 설치
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봤으니, 클러스터를 구성해보려 한다. KVM을 이용해서 3개의 consul 노드를 실행한다. 로 쉽게 설치할 수 있겠지만 노가다를 뛰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아서. 노드는 우분투 리눅스 서버 18.10을 설치한다. 호스트 운영체제에서 Go 예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서 실행한다.노드 이름은 consul01, consul02, consu...
AWS Architecture
AWS기반 서비스 아키텍처링을 다룬다....
IT 전문가를 위한 무료 AWS 온라인 교육자료
인터넷에는 AWS 사용 방법에 대한 유용한 정보들이 넘쳐난다. 좋은 일이기는 하지만, 너무 정보가 많아서 체계적으로 학습하기가 쉽지 않다. AWS 학습에 즉시 써먹을 수 있는 무료 교육 자료들을 정리했다. 에 350개 주제의 무료 디지털 자료를 제공한다. 각 주제에 대해서 참가자가 실습을 통해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여기에서 다루는 주제들은 컴퓨터...
Terraform workspace
서비스 인프라를 구성 할 때, 프러덕션 인프라 하나만 구성하는 경우는 없다. CICD 환경울 구성했다면 최소 두 단계, 일반적으로 3단계의 인프라가 구성된다. Dev QA Production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인프라도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다. 개발이 여러 단계를 거치는 것처럼, 인프라도 여러 단계를 거치면서 테스트, 피드백, 개선의 작업을 거쳐야 한다....
VSCode로 AWS Serverless 개발 환경 만들기
서버리스 아키텍처의 장점은 아래와 같다. 1. 비용 1. 확장성과 유연성 1. 생산성 물론 단점도 있다.(마법의 은탄환은 없는 법이라서) 1. 성능 1. 보안 1. 프라이버시 AWS Lambda는 AWS에서 제공하는 컴퓨팅 관련 서버리스 서비스다. 서버리스라는게 개념은 아주 예쁘지만 "서버가 없고" 많은 기능들이 추상화 돼 있기 때문에 개발 & 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