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CSI 볼륨 만들기VM을 위한 Volume을 제공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Local Disk를 이용하는 것이다. 로컬 파일 시스템 위에 적당한 크기의 image 파일을 만들어서 사용하면 되겠다. 가상화 환경구축까지는 Local Disk를 사용해도 충분하지 싶다.하지만 Cloud 환경을 구축하려고 한다면, 필요에 따라서 원격 Storage에서 볼륨을 만들...
NexentastorNexentastor는 opensolaris를 기반으로 스토리지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다시 만들어진 어플라이언스 제품입니다. 파일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ZFS는 파일 시스템이지만 볼륨 메니지먼트 기능까지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Nexenta도 별도의 기능개발 없이 ZFS의 기능을 활용해서 볼륨을 서비스한다. ZFS는 볼륨...
Nexentastor installVirtualbox로 설치하기로 했습니다. 설치 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설치 Host Host 운영체제 Virtualizer Nexentastor Version 3.1.1JOB가 달려있는 수천만원짜리 장비가 있으나, 문서를 남기기 위해서 테스트하기에는 힘들어서 가상환경에서 구축했습니다. 자세히 들어가면 많은 차이...
Nexentastor Nexenta Management Console의 줄임말입니다. 넥센터에 접근하면 bash 쉘 대신뜨는데, 넥센터에서 제공하는 전용 쉘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탭키를 누르는 것만으로 명령이 지원하는 옵션을 보여주기 때문에, 비교적 쉽게 명령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웹용 인터페이스인 NMV도 있습니다. 처음엔 NMV를 주로 사용했는데 반응...
Nexcentastor 볼륨 관리create volume을 이용하면 볼륨을 만들 수 있으니, 볼륨을 만드는 것은 결코 어렵지 않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예컨데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해서 수백 테라바이트의 볼륨을 구성해야 한다면, 상당한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고민 뿐만 아니라 테스트에도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운이 참 좋게도 24개씩 Disk가 꽂...
Nexenta iSCSI 관리 내일 이미지 업데이트 하고 마무리해야 겠다. iSCSI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은 문서의 내용을 참고한다. iSCSI는 기기간 표준 연결 인터페이스인 SCSI를 인터넷으로 확장시킨 것이므로, 운영체제간 동작방식에 있어서 차이는 없다고 할 수 있다. 다만 nexenta의 경우 한 두단계 정도의 추상화 툴을 제공하고 있다. 이 추상...
X86 virtualizationX86 가상화는 x86기반의 호스트 운영체제에서 (커널의 수정 없이 혹은 최소한의 수정만으로)다른 x86기반의 게스트 운영체제를 운영하는 기술을 말한다. vmware는 1999년경 이 기술을 시장에 처음 (상품으로서)소개한 기업이다. 내가 처음 vmware를 설치한게 아마 2002년 때쯤인 ? 것으로 기억한다. 당시 리눅스...
XenXen은 하나의 컴퓨터 하드웨어에서 다수의 운영체제를 동시에 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소프트웨어다. GPLv2하에서 배포되고 있으며, IA-32, x86-64, ARM을 지원한다.Xen은 native(bare-metal) 하이퍼바이저로, 다른 소프트웨어 보다 더 높은 CPU 권한을 가지고 실행된다.하이퍼바이저는 모든 가상머신(Xen에서는 "dom...
213 POSTS HERE
iSCSI 볼륨 만들기
iSCSI 볼륨 만들기VM을 위한 Volume을 제공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Local Disk를 이용하는 것이다. 로컬 파일 시스템 위에 적당한 크기의 image 파일을 만들어서 사용하면 되겠다. 가상화 환경구축까지는 Local Disk를 사용해도 충분하지 싶다.하지만 Cloud 환경을 구축하려고 한다면, 필요에 따라서 원격 Storage에서 볼륨을 만들...
Storage
Storage클라우드 스토리지 구성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블럭스토리지와 오브젝트 스토리지를 모두 다룰 계획이다 ...
Nexentastor
NexentastorNexentastor는 opensolaris를 기반으로 스토리지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다시 만들어진 어플라이언스 제품입니다. 파일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ZFS는 파일 시스템이지만 볼륨 메니지먼트 기능까지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Nexenta도 별도의 기능개발 없이 ZFS의 기능을 활용해서 볼륨을 서비스한다. ZFS는 볼륨...
Nexentastor install
Nexentastor installVirtualbox로 설치하기로 했습니다. 설치 환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설치 Host Host 운영체제 Virtualizer Nexentastor Version 3.1.1JOB가 달려있는 수천만원짜리 장비가 있으나, 문서를 남기기 위해서 테스트하기에는 힘들어서 가상환경에서 구축했습니다. 자세히 들어가면 많은 차이...
Nexentastor : nmc command
Nexentastor Nexenta Management Console의 줄임말입니다. 넥센터에 접근하면 bash 쉘 대신뜨는데, 넥센터에서 제공하는 전용 쉘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탭키를 누르는 것만으로 명령이 지원하는 옵션을 보여주기 때문에, 비교적 쉽게 명령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웹용 인터페이스인 NMV도 있습니다. 처음엔 NMV를 주로 사용했는데 반응...
Nexentastor & ZFS 용어 정리
Nexentastor & ZFS 용어 정리급하게 Nexentastor을 다루다 보니, 용어 문제가 튀어나오더군요. 그래서 이번 참에 정리했습니다. NexentaStor Nexenta Storage Applicance. SA-API Storage Appliance API. NMS Nexenta Management Server. 어플라이언스는 하나의 ...
Nexcentastor 볼륨 관리
Nexcentastor 볼륨 관리create volume을 이용하면 볼륨을 만들 수 있으니, 볼륨을 만드는 것은 결코 어렵지 않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예컨데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해서 수백 테라바이트의 볼륨을 구성해야 한다면, 상당한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고민 뿐만 아니라 테스트에도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운이 참 좋게도 24개씩 Disk가 꽂...
Nexenta iSCSI 관리
Nexenta iSCSI 관리 내일 이미지 업데이트 하고 마무리해야 겠다. iSCSI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은 문서의 내용을 참고한다. iSCSI는 기기간 표준 연결 인터페이스인 SCSI를 인터넷으로 확장시킨 것이므로, 운영체제간 동작방식에 있어서 차이는 없다고 할 수 있다. 다만 nexenta의 경우 한 두단계 정도의 추상화 툴을 제공하고 있다. 이 추상...
X86 virtualization
X86 virtualizationX86 가상화는 x86기반의 호스트 운영체제에서 (커널의 수정 없이 혹은 최소한의 수정만으로)다른 x86기반의 게스트 운영체제를 운영하는 기술을 말한다. vmware는 1999년경 이 기술을 시장에 처음 (상품으로서)소개한 기업이다. 내가 처음 vmware를 설치한게 아마 2002년 때쯤인 ? 것으로 기억한다. 당시 리눅스...
Xen
XenXen은 하나의 컴퓨터 하드웨어에서 다수의 운영체제를 동시에 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소프트웨어다. GPLv2하에서 배포되고 있으며, IA-32, x86-64, ARM을 지원한다.Xen은 native(bare-metal) 하이퍼바이저로, 다른 소프트웨어 보다 더 높은 CPU 권한을 가지고 실행된다.하이퍼바이저는 모든 가상머신(Xen에서는 "d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