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en HypervisorXen 하이퍼바이저는 하나의 컴퓨터에서 여러 개의 운영체제를 동시에 실행하도록 도와주는 소프트웨어 계층이다. 3가지 요소로 구성된다.Xen 하이퍼바이저 Xen 하이퍼바이저는 CPU, I/O, 디스크등의 하드웨어 자원에 직접 접근 할수 있으며,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guest 운영체제는 Xen 하이퍼바이저게...
Cloud architecture - EBS 기준으로 이전에 다루었던 는 POD에 snode를 두고 있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아래와 같다. 익숙한 아키텍쳐다. 내가 처음 사용한 cloud os는 클라우드스택이고, 하이퍼바이저로 xenserver를 사용했다. Xenserver는 기본적으로 cluster 단위로 자원을 관리한다. Cluster은 두 개이상...
간단한 Cloud 구성 소수의(5개 이내의) POD(rack)으로 구성 x86 기반의 cnode(computing node) x 16 Snode(storage node) VM의 Root volume과 data volume용 snode x 1 Object Storage x 1POD는 lack에 대응한다. POD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cloudstack에서 l...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구축클라우드 데이터 센터를 구축해 보려 한다. 클라우드 시스템의 최소 요구조건은 아래와 같다. 1. On-demand service 1. Broad network access 1. Resource pooling 1. Rapid elasticity 1. Measured service, or pay-per-use model 이 요...
Bare-Metal Provisioning 클라우드 리소스가 올라갈 하드웨어와 운영체제를 프로비저닝 해야 한다. 모든 작업은 원격에서 자동으로 수행 해야 하며,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Bare-Metal 자원을 모니터링 할 수 있어야 한다. 모니터링 시스템과의 연동이 필요하다. 서비스 트래픽과 관리 트래픽을 격리할 수 있어야 한다. 클라우...
Elastic volume service Volume pool을 구성 해야 한다. 유저는 자유롭게 볼륨을 요청하고 할당 받을 수 있어야 한다. Cloud manager는 유저가 사용중인 볼륨을 모니터링 할 수 있어야 한다. 인스턴스와 볼륨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인스턴스 호스트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다른 호스트에서 인스턴스를 실행하...
Internet Gateway 클라우드는 기본적으로 Private Network로 인터넷으로 부터 격리된다. 모든 인스턴스는 사설 IP를 가지고 있다. 이들 인스턴스는 인터넷에서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가용성과 확장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IP Pool을 유지해야 한다. 1. 인스턴스는 Private IP만 가지고 있다. 인터넷으로 나가기...
Simple Vlan Network Public Cloude가 아닌 Private Cloud에서의 Internal 네트워크 구성 을 이용한 네트워크 격리 관리/스토리지/Guest망 분리 Mgmt Network, Storage Network, Guest Network로 구성된다. Mgmt Network는 내부 관리망이다. 클라우드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
Iaas Structure가상 인프라용 클라우드 서비스라고 부릅니다. Infrastructure as a Service의 줄임말입니다. "이 서비스는 기본 빌딩 블록에 대한 액세서를 서비스하는 형태로 제공되는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라고 소개를 하더군요. 한마디로 무슨말인지 모르겠습니다. "빌딩 블록"이 의미하는 바가 너무 애매모호 하기 때문이죠. 여기에...
클라우드 인프라 아키텍쳐 클라우드 인프라의 일반적인 구조를 기술해 보고자 한다. 다양한 구조가 있을 수 있겠으나 클라우드스택에서 묘사한 구조로 살펴보려고 한다. 즉 zone, pod, cluster 거기에 region까지 더해서 클라우드 인프라에 대해서 살펴본다. zone은 데이터 센터 개념, pod는 rack을 의미한다. cluster은 storage를...
213 POSTS HERE
Xen Hypervisor
Xen HypervisorXen 하이퍼바이저는 하나의 컴퓨터에서 여러 개의 운영체제를 동시에 실행하도록 도와주는 소프트웨어 계층이다. 3가지 요소로 구성된다.Xen 하이퍼바이저 Xen 하이퍼바이저는 CPU, I/O, 디스크등의 하드웨어 자원에 직접 접근 할수 있으며,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guest 운영체제는 Xen 하이퍼바이저게...
Cloud architecture - EBS 기준으로
Cloud architecture - EBS 기준으로 이전에 다루었던 는 POD에 snode를 두고 있다. 이렇게 구성한 이유는 아래와 같다. 익숙한 아키텍쳐다. 내가 처음 사용한 cloud os는 클라우드스택이고, 하이퍼바이저로 xenserver를 사용했다. Xenserver는 기본적으로 cluster 단위로 자원을 관리한다. Cluster은 두 개이상...
간단한 Cloud 구성
간단한 Cloud 구성 소수의(5개 이내의) POD(rack)으로 구성 x86 기반의 cnode(computing node) x 16 Snode(storage node) VM의 Root volume과 data volume용 snode x 1 Object Storage x 1POD는 lack에 대응한다. POD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cloudstack에서 l...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구축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구축클라우드 데이터 센터를 구축해 보려 한다. 클라우드 시스템의 최소 요구조건은 아래와 같다. 1. On-demand service 1. Broad network access 1. Resource pooling 1. Rapid elasticity 1. Measured service, or pay-per-use model 이 요...
Bare-Metal Provisioning
Bare-Metal Provisioning 클라우드 리소스가 올라갈 하드웨어와 운영체제를 프로비저닝 해야 한다. 모든 작업은 원격에서 자동으로 수행 해야 하며,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Bare-Metal 자원을 모니터링 할 수 있어야 한다. 모니터링 시스템과의 연동이 필요하다. 서비스 트래픽과 관리 트래픽을 격리할 수 있어야 한다. 클라우...
Elastic volume service
Elastic volume service Volume pool을 구성 해야 한다. 유저는 자유롭게 볼륨을 요청하고 할당 받을 수 있어야 한다. Cloud manager는 유저가 사용중인 볼륨을 모니터링 할 수 있어야 한다. 인스턴스와 볼륨은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인스턴스 호스트에 문제가 생기더라도, 다른 호스트에서 인스턴스를 실행하...
Internet Gateway
Internet Gateway 클라우드는 기본적으로 Private Network로 인터넷으로 부터 격리된다. 모든 인스턴스는 사설 IP를 가지고 있다. 이들 인스턴스는 인터넷에서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가용성과 확장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IP Pool을 유지해야 한다. 1. 인스턴스는 Private IP만 가지고 있다. 인터넷으로 나가기...
Simple Vlan Network
Simple Vlan Network Public Cloude가 아닌 Private Cloud에서의 Internal 네트워크 구성 을 이용한 네트워크 격리 관리/스토리지/Guest망 분리 Mgmt Network, Storage Network, Guest Network로 구성된다. Mgmt Network는 내부 관리망이다. 클라우드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
Iaas Structure
Iaas Structure가상 인프라용 클라우드 서비스라고 부릅니다. Infrastructure as a Service의 줄임말입니다. "이 서비스는 기본 빌딩 블록에 대한 액세서를 서비스하는 형태로 제공되는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라고 소개를 하더군요. 한마디로 무슨말인지 모르겠습니다. "빌딩 블록"이 의미하는 바가 너무 애매모호 하기 때문이죠. 여기에...
클라우드 인프라 아키텍쳐
클라우드 인프라 아키텍쳐 클라우드 인프라의 일반적인 구조를 기술해 보고자 한다. 다양한 구조가 있을 수 있겠으나 클라우드스택에서 묘사한 구조로 살펴보려고 한다. 즉 zone, pod, cluster 거기에 region까지 더해서 클라우드 인프라에 대해서 살펴본다. zone은 데이터 센터 개념, pod는 rack을 의미한다. cluster은 storage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