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Virtual Server

Linux Virtual Server리눅스 커널 기반의 고가용성, 고확장성 솔류션으로 리눅스 운영체제 레벨에서 로드 밸런서를 서비스 할 수 있다. Scale-out한 Load balancer cluster를 구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살펴보는 중이다. 를 기반으로 하는 구성은 이미 테스트를 진행했다. haproxy는 L7이니 만큼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지만,...

클라우드를 위해서 필요한 기술들

클라우드를 위해서 필요한 기술들자유자재로 모양과 크기가 변하는 구름처럼, 클라우드 역시 모양과 크기가 자유롭게 변할 수 있어야 한다. 형상이 자유롭게 변화할 수 있어야 한다는건데, 형상이라는 것은 결국 "설정(configuration)"으로 표현된다. 이 설정을 사람이 손으로 관리할 수는 없는 법이다. 기존의 호스팅 서비스라면 하드웨어 인프라의 관리 주체...

네트워크 가상화

네트워크 가상화 스위치, 라우터, NIC과 같은 네트워크 장비들 F/W, 로드 밸런서 같은 네트워크 요소들 VLAN, VM 네트워크 스토리지 장비들 4G HLR, SLR 장비들 랩탑, 타블렛, 스마트폰등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모바일 Ethernet, Fibre Channel같은 네트워크 매체 ...

가상 IP 할당하기

가상 IP 할당하기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하려다 보면, 가상의 IP를 할당해야 할 필요가 자주 생긴다. 이번 글에서 가상의 IP를 할당하는 방법을 연구해 보려고 한다. 기본 환경은 다음과 같다. 운영체제 하이퍼바이저 게스트 운영체제 Virtualbox를 이용해서 가상 IP를 설정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을 테스트하기로 했다. Guest 운영체제에 가상 ...

OpenStack Architecture

OpenStack Architecture주로 CloudStack(클라우드스택)을 가지고 놀았는데, 여차저차한 이유로 오픈스택에도 관심을 가지게 됐다. 클라우드 소프트웨어를 두 개씩이나 알 필요가 있을까란 생각을 하기도 했는데 Private cloud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는 클라우드 스택과 달리 오픈 스택은 매우 유연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비교 분석하는...

Qemu - KVM

Qemu - KVMQemu는 오픈소스 기반의 하드웨어 에뮬레이터이며, 가상화 툴로도 사용한다. 리눅스의 커널기반 가상화 도구인 KVM은 Qemu를 기반으로 작동한다. KVM을 활용하려면 Qemu를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에서는 Qemu와 관련된 기술적인 내용을 다룬다. 이 위키에서 Qemu와 KVM은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 KVM은 리눅스 ...

Qemu Networking

Qemu NetworkingQemu (KVM)은 OpenStack과 redhat에서 주요 하이퍼바이저로 사용하고 있으니, 이번참에 네트워크 쪽도 공부해 두면 클라우드 환경에 응용할 때 많은 도움이 되지 싶어서 살펴보려 합니다. 문서를 먼저 읽으셔야 문서 내용을 이해하기 쉬울겁니다.이 문서의 내용은 아래의 환경에서 테스트 했습니다. Host 운영체제 ke...

QEMU Network Block Device

QEMU Network Block Device물리적인 디바이스를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이다. 예컨데, 원격에 있는 하드 디스크를 로컬에서 사용 할 수 있도록 해준다고 보면 된다. 와 매우 비슷한 녀석이라서 어느 녀석을 써야 할지 헷갈릴 수 있겠다. 굉장히 최신의 기술일 것 같지만 1997년에 개발된 거의 20년이 다되가는 기술이다. 리...

QMP를 이용한 Qemu 모니터링 및 관리

QMP를 이용한 Qemu 모니터링 및 관리 QMP는 qemu 인스턴스와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으로, JSON 형태의 프로토콜을 이용한다. QMP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text 기반의 가볍고 단순한 데이터 형식을 제공 파싱하기 쉬운 JSON 데이터 형식 사용 이벤트와 같은 비동기 메시지 지원 QMP는 QEMU 0.14 부터 지원한다. 2...

Qemu VM으로의 원격 데스크탑 연결

Qemu VM으로의 원격 데스크탑 연결 클라우드분야를 하다보니 개인적으로 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 VDI를 하려면, 원격에서 실행되는 인스턴스의 그래픽 출력(모니터 화면)을 그대로 가져올 수 있어야 한다. 그냥 가져오는게 아니고 "지연없이, 빠르게" 로컬 모니터로 출력할 수 있어야 한다. 문서작성은 물론이고, 동영상 가능하면 게임화면까지도 표현할 수 있어...